체육회·축협·배협 회장 태도문제에
조직 안팎서 비판, 수장들 사퇴 요구
생활스포츠 발전 '활동' 주목적으로
결과로써 과정 덮는 문제회피 안돼
예외주의서 벗어나 변화 도모해야


이현서-아주대스포츠레저학과교수.jpg
이현서 아주대학교 스포츠레저학과 교수
2024년도 두 달이 채 남지 않았다. 올해 사회를 뜨겁게 달군 이슈 중의 하나는 체육조직 문제이다. 2월7일에 남자축구 국가대표팀이 아시안컵 4강전에서 졸전으로 패배하면서 대한축구협회(축협)의 감독 선임에 대한 팬들 비판이 시작되었다. 7월에 홍명보씨가 감독으로 선임되자 축협 운영에 대한 팬의 비판은 더욱 거세졌다. 결국 축협은 문화체육관광부(문화부) 조사와 국회 감사를 받았다. 이뿐만 아니라 8월에 파리올림픽의 금메달리스트 안세영 선수가 대한배드민턴협회(배협) 문제점을 폭로하였다. 문화부가 배협도 조사하여 10월에 결과를 발표했는데 협회의 운영개선 과제를 5개 분야 26개 사안으로 도출하고, 김택규 회장을 직장 내 괴롭힘 건으로 신고하였다. 동시에 대한체육회(체육회)도 문화부 조사와 국회 감사를 받으며 방만한 운영과 여러 문제에 대한 지적을 받았다. 거기에다 이기흥 회장의 3선 연임을 반대하는 체육회 노조 성명, 정몽규 회장의 4선 연임을 반대하는 축협 노조 성명이 잇달아 발표되면서 체육조직들이 안팎으로 비판받으며 조직 수장들이 사퇴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여러 체육조직이 팬, 선수, 노조, 문화부, 국회로부터 한꺼번에 문제점을 지적받으며 언론과 대중의 주목을 받은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체육회, 축협, 배협 회장이 보여준 태도를 보면 사소한 실수를 했을 수는 있지만 중대한 잘못을 했다고는 거의 인식하지 않는 것 같다. 한 조직의 수장에게 사람들이 기대하는 리더십, 운영 능력, 품성에 관한 눈높이와 이들의 태도 간에 격차가 크게 벌어지는 현상이 왜 나타나는 것일까?

여러 이유 중에 필자는 두 가지를 강조하고 싶다. 첫째, 재미가 중심인 스포츠산업에 팽배한 '결과 중심주의' 때문이다. 홍명보씨는 감독 선임 후 인터뷰에서 "대표팀 성적으로 보답하겠다"며 결과로 보여주겠다고 했다. 사람들은 경기에서 승리하면 기쁨에 젖어 스포츠계 현안 문제를 잊어버리곤 한다. 그래서 정치권이 스포츠를 이용하여 사회문제에 대한 대중 인식을 희석하는'스포츠워싱(sports-washing)'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러나 이제 좋은 결과로써 좋지 못한 과정을 덮어 버리며 문제를 회피할 수 있는 시대가 더 이상 아니다. 스포츠 사학자 토시오 사에키는 스포츠 목적이 3단계로 변해 왔다고 본다. 제1단계인 인류 기원부터 산업혁명 전까지 스포츠는 '생존'을 위한 신체 활동으로 사냥과 전쟁에서 이기기 위한 훈련이 주목적이었다. 제2단계인 18세기 산업혁명부터 20세기까지 스포츠는 '소유'를 위한 신체 활동으로 스포츠 비즈니스 수익이나 국제대회 좋은 성적으로 국가 위세를 소유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제3단계인 21세기에 스포츠 참여 기본권이 확대되어 생활 스포츠가 발전하면서 스포츠는 인간다운 '존재'가 되기 위한 활동이 주목적이 되었다. 과거에 경기장에서 드러나는 선수의 도전과 성공, 공정한 규칙과 페어플레이에 열광했던 팬들이, 이제 경기장 뒷면에 드러나지 않는 스포츠조직 운영까지 공정하고 투명해져서 선수, 지도자, 관중 모두 인간다운 존재가 되기를 열망하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스포츠조직도 이런 변화에 발맞추어야 변해야 한다.

두번째, '스포츠 예외주의(sports exceptionalism)'도 이런 사태를 낳은 주요 요인이다. 국제대회 성적을 중시하여 교육제도에 예외를 둔 체육특기자제도가 1972년에 만들어진 후, 사람들은 스포츠조직과 제도에 최고 결과를 내기 위해 예외성이 있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게 되었다. 그러면서 운동하지 않는 사람들은 경기 결과 외에 스포츠조직이나 제도에 관심을 두지 않는 현상이 굳어졌다. 그 결과 체육조직을 관리, 감시해야 하는 문화부나 국회에 스포츠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춘 인력이 부족하게 되었다. 사실, 이번 체육조직 사태는 체육계 자체의 문제만큼이나 체육조직을 관리, 감시해야 하는 정부와 국회의 태만 문제도 심각한 원인이다. 스포츠 예외주의에서 벗어나 체육조직과 관련된 사람들 모두 노력하여 스포츠거버넌스 변화를 도모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현서 아주대학교 스포츠레저학과 교수


<※외부인사의 글은 경인일보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