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 유급 연구원 대부분 없는 상황
1년내내 국내외 학술행사 안 열기도
"수당목적 난립… 예산낭비 막아야"

인천지역 4년제 대학 부설 연구소 대다수가 연구원이 없거나 1년 내내 학술 행사조차 열지 않는 등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운영하는 '대학알리미' 정보를 보면, 지난해 기준 인천지역 4년제 대학 연구소 대부분이 연구만 전담하는 전임 유급 연구원 없이 운영되고 있다. 1년 내내 국내외 학술대회, 전문가 초청 강연, 세미나 등을 개최하지 않은 연구소도 많다.

경인교대는 부설 연구소 48개 중 44개(91.6%), 인하대는 88개 중 68개(77.2%), 인천대는 68개 중 48개(70.5%)가 이 같은 상황이다. 전임 유급 연구원 유무와 학술행사 개최 실적은 한국연구재단이 매년 실시하는 '대학연구활동 실태조사'에서 대학 부설 연구소를 평가하는 지표다.

대학 부설 연구소들은 학과, 학부의 경계를 넘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다. 민간 연구소와 달리, 전문 연구 인력을 투입해 기초학문 등 사회 발전을 위해 연구한다는 특징이 있다. 각 대학 규정에 따라 연구소에 참여하려는 전임 교원 수, 이들의 외부연구비 수탁 실적 등을 충족하면 연구소를 설립할 수 있다. 일부 대학은 연구소장을 맡은 교원에게 보직수당을 지급하기도 한다.

인하대에 재직 중인 한 교수는 "국가기관, 기업체의 연구용역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연구소를 설립했다가 사업이 끝나면 연구소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며 "연구소를 제대로 운영하고 싶어도 재정 상황에 따라 연구원을 채용하지 못하는 등 운영에 차질이 생기기도 한다"고 했다.

일각에선 연구 목적이 아니라 보직수당 혹은 국가기관이나 기업체로부터 연구비를 수주하기 위해 연구소가 난립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임희성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은 "연구소가 연속성을 가지고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대학 본부가 지원하면서도, 유명무실한 연구소는 철저하게 관리해 예산 낭비를 막아야 한다"고 했다.

대학마다 부설 연구소에 대한 관리는 내부 규정에 따라 제각각이다. 다만 국립대학교는 '국립학교설치령'에 따라 최소 3년에 한 번 연구소의 운영 실적을 평가해 존속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인천 한 대학 관계자는 "대학알리미에 고시된 정보만으로는 연구소의 제대로 된 활동을 평가하기 어려울 수 있다"며 "우리 대학은 논문 실적, 외부 연구과제 수주 노력 등을 토대로 연구소를 평가하고, 높은 점수를 받은 연구소에만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고 했다.

다른 대학 관계자는 "적극적으로 연구 활동을 하는 연구소가 많지 않고, 교원 혼자서 연구소를 운영하는 경우가 대다수"라면서도 "한 해 실적이 저조했더라도 다음 해에 새로운 연구를 시작할 수도 있어서 대학에서 부설 연구소를 별도로 관리하진 않는다"고 했다.

/정선아기자 s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