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구문화재단, 'LAC 스튜디오'·'라이엇'·'슬로스'와 협업 프로 활발 

 

인천 부평구 부평삼거리의 한 건물 벽면에 그려진 '김구 선생 그래피티'. /부평구문화재단 제공
인천 부평구 부평삼거리의 한 건물 벽면에 그려진 '김구 선생 그래피티'. /부평구문화재단 제공
부평을 대표하는 예술 장르는 단연 '풍물'이다. 그렇다고 부평에 풍물만 있는 것은 아니다.

부평은 어느 도시보다 개방적이고 다양성을 지닌 도시다. 1990년대 이후 창조적이고 실험적인 '서브컬처'가 자연스럽게 부평에서 태동하게 된 이유다. '문화도시부평'이 서브컬처에 주목하기 전부터 그래피티, 스케이트보드, 디제잉 등 떠오르는 서브컬처의 핵심 주자들이 부평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여러 그래피티 작가가 소속된 'LAC 그래피티 스튜디오'는 부평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부평구문화재단의 '부평에 그래피티 벽을 허하라' 사업을 통해 부평삼거리 앞 정석빌딩 벽면에 일명 '김구 선생 그래피티'를 선보인 것으로 유명한 단체다. '김구 선생 그래피티'는 새로운 랜드마크가 되고 있다.

부평구문화재단은 삼산동 분수공원 X-게임장과 부평구청소년수련관에 그래피티 작업을 진행했으며, 올 연말까지 3곳에서 추가로 그래피티를 그릴 계획이다.

평리단길에 있는 스케이트보드 전문 매장 '라이엇'(RIOT)은 스케이트보드 문화를 이끄는 '보더들의 성지'로 불린다. 레코드바 '슬로스'(Sloth) 역시 로컬 DJ들의 활동 공간이다.

부평구문화재단은 이들과 협업해 다양한 서브컬처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재단 관계자는 "부평은 오래 전부터 서브컬처 분야의 핵심 플레이어들이 터를 잡은 지역"이라며 "최근엔 서브컬처 분야에서 타 지역 예술가들이 부평으로 모여들고 있으며, 부평의 아티스트들이 타 지역으로 진출하고 있기도 하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