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플랫폼 운영 개편, 북부문회관 백지화 등
올해 인천시 문화예술행정 전문가 진단·토론
지지부진 3차 문화진흥시행계획 수립 지적도

인천민예총이 해마다 개최하는 ‘이슈포럼’의 올해 주제를 인천시 문화예술 행정으로 잡았다.
인천민예총은 오는 20일 오후 6시 인천아트플랫폼 H동 다목적실에서 ‘이슈포럼 1: 인천시 문화정책을 돌아보다’를 개최한다. 인천민예총은 이번 이슈포럼 주제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인천시정부의 일방적이고 독단적인 문화예술행정에 대해 이야기하려 한다. 대표적으로 인천아트플랫폼 운영 개편안의 최초 결과물인 개항장 뮤직갤러리부터 시작해 ‘북부문화예술회관 건립 백지화’, 그리고 ‘재단법인 인천아트센터(가칭) 설립 무산’ 이후 아트센터인천과 인천문화예술회관, 트라이보울을 통합 운영을 인천문화재단으로 추진하려는 계획까지 최근 인천시가 추진한 사업을 보면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정책사업이 중장기적 관점에서 보기 어렵다.”
‘이슈포럼 1’에선 김창수 인하대 초빙교수가 발제한다. 이재상 연출가, 정영진 부평구문화재단 문화사업본부장이 토론자로 나서고, 김창길 인천민예총 정책위원장이 사회를 맡았다.
인천민예총은 인천시의 문화예술 정책이 문화예술의 경제적 가치에만 지나치게 치중돼 관광 사업으로 전락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인천시가 문화시설을 짓고 외형적으로 드러나는 사업에 집중해 지역 예술진흥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는 게 이들의 시각이다.
인천민예총은 문화예술에 대한 마스터플랜이 제대로 세워지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해서는 내달 3일 오후 5시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 세미나실에서 ‘이슈포럼 2: 인천시 문화진흥시행계획 평가와 과제’를 개최한 세세하게 진단할 계획이다.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장은 지역 문화를 위한 시행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시행·평가해야 한다. 인천시는 내년에 ‘제3차 인천시 문화진흥 시행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그러나 인천민예총은 시행계획 수립을 위한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슈포럼 2’에선 손동혁 한국문화정책연구소 이사장이 발제한다. 최영화 인천연구원 연구위원과 유경희 시의회 문화복지위원장이 토론에 참여한다. 김창길 인천민예총 정책위원장이 사회를 맡았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