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시-전폭-계속지원’ 3원칙 약속
“반도체특별법 빠른 시일 통과돼야”
이재명 1심 후 대권 질문엔 선그어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더불어민주당과 반도체 산업계와 손잡고 ‘반도체 드라이브’를 가속화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김 지사는 18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종합 반도체 강국 도약을 위한 정책협약식’에서 “한국은 어떻게 반도체 산업을 육성할 것인지 진지하게 생각해야 할 때”라며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과 공급망 확대, 기술개발, 인력양성에 경기도가 최선을 다하겠다. 특히 반도체특별법과 RE100 3법 등 경기도가 추진하는 법안들이 빠른 시일 내에 통과돼 반도체 산업의 앞길을 향도(嚮導)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자국패권주의나 보호무역주의, 반도체 산업 등에 필수적인 신재생에너지 등에 관한 정부의 대처를 지적했다. 김 지사는 “정부가 지금의 경제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우리 경제가 나아갈 길에 맞춰서 해야 할 것들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해 다시 한번 유감을 표시한다”고 짚었다.

이날 협약식에는 민주당 반도체포럼 대표인 김태년(성남수정) 의원과 박찬대 원내대표를 비롯해 정태호(관악을), 강준현(세종을), 권칠승(화성병), 송옥주(화성갑), 홍기원(평택갑), 이병진(평택을), 이수진(성남중원), 김영환(고양정), 윤종군(안성), 김원이(전남목포) 의원 등이 참석했다.
민주당 반도체포럼은 경기도·국회·반도체 산업계를 ‘원팀’으로 규정하며 반도체 산업에 대한 ‘적시-전폭-계속지원’의 3원칙을 약속했다.
반도체 산업계에선 김정회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 김경수 한국팹리스 산업협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는 지난 5일 취임한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 윤준호 경기도 정무수석도 함께했다.
한편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이재명 대표의 1심 선고 이후 차기 대권 주자로서 대권 행보에 관한 질문에는 “지금 그런거 논의할 때가 아닌 것 같다”며 선을 그었다.
김 지사는 “야당대표에 대해서는 먼지털이식 수사를 하고 있고, 살아 있는 권력에 대해서는 뭉개기 수사를 하고 있다. 이게 제대로 된 법치인지 민주주의인지 정말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하며 “지금 상황 속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의) 특검 수용과 민생에 집중해서 정부도, 국회도, 민주당도 함께해야 될 때”라고 강조했다.
지난 1일 베를린에서 김경수 전 지사와의 만남에 관한 질문에도 “베를린 방문 목적은 독일 에버트재단에서 국제정치와 경제 상황에 대해 간담회였다”며 “김 전 지사도 에버트재단에서 초청해 자연스럽게 사모님과 같이 저녁식사를 했다. 여러 가지 개인적인 것에서부터 제가 느꼈던 반도체산업을 포함한 여러 가지 미래 비전에 대한 얘기를 나눴다”고 답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