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고립·은둔 청년 22만명 추정
장기적·맞춤형 정책 수립, 활동가 양성, 멘토링 운영 등 지원 필요
![](https://wimg.kyeongin.com/news/cms/2024/11/20/news-p.v1.20241120.88cc0ff9a0e745dbb1634b8a0fc9a292_P1.webp)
경기도내 19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 367만명 중 고립청년의 비율이 5.9%, 은둔청년은 3.3%로 추정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는 경기아트센터 컨벤션홀에서 ‘경기 고립·은둔청년 지원 포럼’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도내 고립·은둔 청년 규모에 대한 실태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실태조사에 참여한 박규범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은 ‘2023년 통계청 사회조사’ 내 경기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도내 청년인구 약 367만명 중 고립청년은 21만6천명(5.9%)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또한 도가 ‘2022년 국무조정실 청년 삶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도내 은둔청년은 12만1천명으로 추정된다.
고립 청년은 타인과 의미 있는 관계를 맺지 못하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 도움을 요청할 수 없거나 요청하기 어려운 청년이다.
은둔 청년은 방이나 집 등 제한된 장소에 머물면서 타인 및 사회와의 관계나 교류가 거의 없는 청년을 말하며, 응답자 상태에 따라 고립·은둔 청년에 모두 해당할 수 있다.
도는 고립·은둔 청년 규모를 조사하면서 고립·은둔 기간과 시작 시기, 정책 욕구 등도 함께 조사했다.
조사 결과, 고립·은둔 청년에게는 ▲장기적 지원의 필요성과 맞춤형 정책 수립 ▲전문기관 및 활동가 양성 ▲멘토링 운영 ▲잠재적 고립·은둔청년 지원 프로그램 마련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날 포럼은 ‘알고 함께하면 연결되는 세상’이라는 주제로 성과발표, 발제 및 종합토론, 온라인강연 등이 진행됐다.
이인용 경기도 청년기회과장은 “고립·은둔 문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이번 포럼에 논의된 내용을 발전시켜 고립·은둔 청년들의 일상 회복과 자립을 위해 세심히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영선기자 ze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