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승교 운영·환경미화 등 업무
관련 자회사 개편해야” 내용
文정부 ‘정규직 전환정책 1호’ 무색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1호 사업장’인 인천국제공항공사(이하 공사)의 관련 업무 다수를 다시 민간 위탁해야 한다는 연구보고서가 나오자 노조가 즉각 폐기하라고 공사에 촉구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이하 노조)는 21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사는 ‘자회사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보고서’를 즉각 폐기하고 4단계 확장 공사에 따른 인력 충원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노조가 폐기를 촉구한 연구보고서는 공사가 국내 한 회계법인에 의뢰한 것으로, 인천국제공항 산하 3개 자회사를 개편해 일부 직종을 민간 위탁해야 한다는 게 골자다.(11월21일자 1면 보도)
인천공항은 문재인 정부 주요 공약인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 1호 사업장이었다. 공사는 인천공항시설관리, 인천공항운영서비스, 인천국제공항보안 등 자회사를 설립해 용역회사 소속이던 비정규직 공항 노동자 9천여명을 2018년부터 2020년 7월까지 정규직 형태로 전환했다.
이 회계법인은 연구용역에서 IT, 시설관리, 보안경비 등 6개 영역을 제외하고 탑승교 운영, 환경미화직 등을 민간 위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공항 운영에 필수 영역을 반영해 6개 자회사 체제로 전환하고, 현 자회사 업무를 대체할 수 있는 영역은 경쟁 체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이를 두고 김선종 노조 부위원장은 “해당 보고서는 인천공항 수익 저하의 원인을 ‘비정규직 정규직화’로 돌릴 뿐만 아니라, 자회사 간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 민간 위탁을 늘릴 것을 제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이날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4단계 시설 확충에 따른 인력 충원도 요구했다. 시설이 확충되면 인천공항의 연간 여객 처리 능력은 7천700만명에서 1억600만명으로 늘어난다.
기자회견을 공동 주최한 진보당 윤종오 의원은 “공사는 국정감사가 끝나기를 기다렸다는 듯이 인력 충원 약속을 바꾼 것은 국회를 무시하는 태도”라며 “앞에서는 안전한 공항을 만들겠다고 약속하고 뒤에서는 공항 효율을 명목으로 인력을 칼질해 노동자와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송윤지기자 ss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