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비율 이견 보였던 주상복합용지는 제외

고양시, GH에 주상복합용지 재검토안 제출 요청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일원 70만2천㎡ 상당의 방송영상밸리 예정 부지./경인일보DB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일원 70만2천㎡ 상당의 방송영상밸리 예정 부지./경인일보DB

고양시와 경기주택도시공사(GH)의 이견으로 고양방송영상밸리 사업이 교착 상태(10월 31일자 1·3면 보도)에 빠졌던 가운데, 고양시가 일부 토지의 공급을 승인하면서 사업 추진에 물꼬를 텄다.

고양방송영상밸리, K-컬처밸리 사태 되풀이될라

고양방송영상밸리, K-컬처밸리 사태 되풀이될라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공급계획 승인을 촉구하오니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9일 GH가 고양시에 보낸 3차 공문 中)경기북부 방송 클러스터 고양방송영상밸리가 안갯속에 빠졌다. 30일 경기도의회, 고양시, 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에 따르면 오는 2026년 완료를 목표로 지난 2019년부터 시작된 고양방송영상밸리 사업이 관계기관의 이견으로 지지부진하다.K-컬처밸리 사업부지와 접한 고양방송영상밸리는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일원 70만2천㎡에 방송시설과 3천780세대 주택을 짓는 복합사업이다. 현재 사업은 토지 공급이 중단돼 답보상태다.2022년 11월 사업시행자인 GH가 조성토지 공급계획을 제출했으나 인허가권자인 고양시가 반대의견을 내세워 2년째 사업이 멈춘 것이다. 사업자 공모 방식, 현상 설계 공모 여부, 주거 비율, 필지 변경 등 공급승인을 두고 건건이 서로의 의견이 엇갈렸다.갈등의 골은 깊다. GH는 최근 3차례나 공문을 보내 공급계획 승인을 촉구했지만 고양시는 일자리 중심 개발을 위한 사업 계획 변경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한다. 경기도의회 일각에선 법적분쟁을 해서라도 조속한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인다. 이런 상황 때문에 K-컬처밸리에 이어 또 다시 경기북부의 중요 사업이 암초를 만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고양시는 "사업 승인권자로서 GH와 협의하겠다는 입장"이라며 "GH와 이견을 보이고 있는 게 맞고, 이견이 없는 일부 부지만 먼저 승인하는 것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GH는 "대토보상자와 사업지구 주민의 재산권 실현이 지연되고 있어 빠른 진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경기도의회 명재성(민·고양5) 의원은 "지금이라도 고양시가 토지 공급 승인을 해주면 행정심판이나 소송까지 가진 않을 텐데 시에
https://www.kyeongin.com/article/1715581

22일 고양시에 따르면 지난 21일 고양시는 ‘경기고양 방송영상밸리 도시개발사업’ 토지 공급계획을 승인했다.

승인 처리한 부지는 방송시설용지 17만㎡, 업무·도시지원시설용지 5만4천㎡, 단독주택·근린생활용지 3만4천㎡ 등이다.

다만, 고양시는 주거비율에서 입장차를 보였던 주상복합용지 14만7천㎡에 대해서는 토지 공급을 승인하지 않았다.

앞서 고양시는 자족 기능 강화, 주택공급 최소화를 위한 주상복합용지 재정비 방안 검토를 요청했으나 GH와의 이견으로 사업이 난항을 겪었다. 당시 고양시는 GH에 주거비율을 9대1에서 7대3으로 하향할 것을 요청했다.

고양시는 이번 토지 공급계획을 승인하면서 GH에 주상복합용지의 주거비율 등에 대한 수정안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고양시 관계자는 “현재 토지조성공사 공정률이 30%에 이르는 상황에 이견을 보이지 않는 주상복합용지 이외의 토지들에 대해서는 공급 승인을 해주는게 맞다고 판단했다”며 “현재 고양시에 공급되는 신규 주택이 너무 많아 자족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주거비율에 대한 협의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GH 측은 답보상태였던 토지 공급계획이 승인된 것에 성과를 이뤘다고 평가하면서도 주상복합용지에 대한 공급 승인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 GH 관계자는 “주상복합용지 공급이 승인돼야 도시계획 전체가 완성되는 것”이라면서도 “주상복합 용지를 제외하고 다른 용지에 대해서 공급이 승인된 것은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영선기자 ze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