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전사업’ 적정성·업체 선정 검토

김포시가 과거 10년간 이뤄진 ‘재두루미 보전사업’의 납품단가 적정성 및 업체 선정과정 등을 감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비싼 먹이를 살포하고도 실효성이 없었다는 문제 제기에 따른 것이다.
이 사업은 멸종위기종 재두루미를 보호하고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해 2014년부터 추진됐다.
국가유산청(옛 문화재청·70%)과 경기도(15%)의 예산을 지원받아 한강하구 일대에서 재두루미 먹이 제공, 취서식지 환경조성, 모니터링·분석 연구용역 등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철새 먹이로 뿌린 ‘볍씨’가 사람이 먹는 고급 쌀보다 비싸게 납품됐고, 인근 지자체 사업과도 큰 차이가 있었다는 지적이 최근 불거지면서 특정감사가 시작됐다.
24일 시에 따르면 2014~2019년 시가 구매단가로 제시한 볍씨 입찰단가는 ㎏당 평균 1천525원 수준이었으나 2020~2023년에는 평균 2천628원으로 급등했다.
이는 같은 기간 1등급 정부공공비축미(도정 전 볍씨) 전국 평균 매입단가(1천775원)보다 30% 이상 비싸고, 심지어 도정을 마친 ‘쌀’의 평균 도매단가(2천424원)보다 높은 금액이다.
또한 파주시·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추진하는 겨울 철새 먹이사업(1천671원), 국가유산청 예산을 지원받는 강원 철원군 사업(1천850원)과 비교해도 김포 업체의 납품단가가 과도했다는 게 시의 판단이다.
시는 최고가로 입찰한 업체가 선정된 부분에 대해서도 자료를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