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문학의 거목’ 도전정신 후배 귀감

 

시집 9권 출간·다수 수상 이력

올해 제정… 내달 13일 시상식

김영승 시인. /경인일보 DB
김영승 시인. /경인일보 DB

인천문인협회는 올해 새롭게 제정한 ‘제1회 미추홀문학상’ 수상자로 김영승(66·사진) 시인을 선정했다.

인천문인협회는 미추홀문학상 정관에 따라 문학 작품을 통해 인천과 한국 문학 발전에 공헌한 공을 기리고, 대외적으로 문학성을 인정받아 인천 문단의 위상을 높인 작가에게 주고자 미추홀문학상을 제정했다.

미추홀문학상은 정관상 협회 회장단의 만장일치로 수상자를 선정한다. 협회는 김영승 시인의 뛰어난 문학적 업적을 기려 수상자로 결정했다.

김영승 시인은 1958년 인천 유동에서 태어나 축현초, 동산중, 제물포고를 나온 뒤 성균관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1987년 펴낸 시집 ‘반성’(민음사)으로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취객의 꿈’(청하·1988), ‘무소유보다도 찬란한 극빈’(나남출판·2001), ‘흐린 날 미사일’(나남출판·2013) 등 시집 9권과 에세이집 ‘오늘 하루의 죽음’(문음사·1989) 등을 냈다.

김영승 시인은 제3회 인천문학상, 제3회 현대시작품상, 제5회 불교문예작품상, 제29회 인천시문화상, 제13회 지훈문학상, 제1회 형평문학상, 제1회 이용악문학상 등을 수상한 인천 문학의 거목이다.

김영승 시인은 1987년 인천문인협회 회원으로 가입했다. 인천문인협회는 김영승 시인이 인천 문단과 중앙 문단에서 열정적인 문학 활동으로 큰 성과를 이뤘으며, 끊임없이 정진하는 모습으로 후배들의 귀감이 돼 도전 정신을 주는 존경받는 시인이라고 수상자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

인천문인협회 정경해 회장은 “시인의 발자취가 인천문협 회원들에게 도전 정신을 부여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시상식은 내달 13일 오후 5시 인천문인협회 송년회 행사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인터뷰… 공감]'제1회 이용악 문학상' 수상한 인천 김영승 시인

[인터뷰… 공감]'제1회 이용악 문학상' 수상한 인천 김영승 시인

을 것인천의 김영승(61) 시인이 이달 초 '제1회 이용악 문학상'을 수상했다. 수상작은 지난해 여름에 발표한 시 '저항'이었다.올해로 창간 10주년을 맞은 계간 '문학청춘'은 통일시대를 염원하면서 민족시인 이용악의 문학정신을 기리기 위해 '이용악 문학상'을 제정했으며, 그 첫 수상자로 김영승 시인을 선정해 시상했다. 심사위원회는 '저항'에 대해 "세심한 언어 선택에 고심하면서 주제를 내면화하려는 응축의 미학을 겨냥한 흔적을 보여준다"며 "시인이 축적해온 시적 성취의 연장선에서 공동체적인 연민과 연대 의식을 함축하면서 북방 정서를 노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수상작으로 손색없다"고 평했다. 함경북도 경성에서 태어난 이용악(1914~1971)은 1930년대 서정주, 오장환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시인으로 꼽히기도 했다. 북방시인으로 불린 이용악의 시는 주로 강한 의지력, 침통한 정조, 예민한 감수성과 풍부한 사상성을 겸비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이용악 문학상' 수상 후 2주 정도 지난 22일 김영승 시인을 만났다. 인천 미추홀구 석암초교 인근의 카페 '안단테 에스프레시보'에서였다. 시 모임 카페로도 잘 알려진 이 곳은 지난달 김 시인의 '시경(詩經) 낭송회'가 펼쳐지기도 했다. 수상 소감을 묻자 김 시인은 잠시 머뭇거리다 입을 열었다."이용악은 백석만큼 작품이 많진 않지만, 시의 톤이 굵고 북방적 정서가 짙죠. 많이 꾸미려 들지도 않았어요. 월북작가이다 보니 다소 희소성도 있기 때문에 문학상의 형태로 접근했다고 보고요. 시상의 주체를 떠나서 저 김영승이 제1회 수상자로서 이 상에 권위가 부여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수상 수락까지 번민을 하다가, 강하게 의미 부여하기로 하고 수락했죠
https://www.kyeongin.com/article/1472146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