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GS건설 등과 실시협약
스마트물류단지에 2119억 투입
40%는 공공 용도… 2029년 완료
인천 신항 활성화를 위해 항만 배후단지를 추가로 조성하는 사업이 본격화한다.
해양수산부는 인천 신항 항만 배후단지(1-1단계 3구역·1-2단계) 개발 사업 시행자로 GS건설 등 6개사가 참여한 민간 컨소시엄인 ‘인천신항스마트물류단지’를 선정하고, 실시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인천신항스마트물류단지는 2천119억원을 투입해 2029년 9월까지 94만1천㎡ 규모의 인천 신항 배후단지 1-1단계 3구역·1-2단계를 조성하게 된다.
인천 신항 배후단지 1-1단계 3구역·1-2단계는 인천항에서 두 번째로 민간이 조성하는 항만 배후단지다. 민간 사업자가 부지를 우선 조성한 뒤, 투자 사업비 범위 내에서 토지나 시설 소유권을 취득하고 나머지 부지의 우선 매수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해수부는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9월 민간 사업자가 취득하고 남은 토지의 40% 정도는 공공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해수부는 임대료가 높아져 항만 물류비용이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해 민간사업자가 취득한 토지 가운데 40%는 인천신항스마트물류단지가 직접 사업을 진행하도록 했다. 나머지 부지를 분양하거나 임대하는 경우에도 조성 원가의 115% 이내에서 가격을 정하도록 했다.
인천 신항 배후단지 1-1단계 3구역·1-2단계 조성 사업이 준공 되면 인천 신항 물동량 증가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 곳에는 항만 활성화를 위한 복합물류단지와 업무 편의 시설, 녹지, 도로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인천 신항 배후단지 1-1단계 3구역·1-2단계 부지가 고부가가치 물류·제조산업을 유치할 수 있는 핵심 산업공간이 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항만물동량이 늘어나고, 신규일자리가 창출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