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말에서 ‘별도 해제 시’로 변경

오물풍선 6000→90개로 줄어

도 특사경 동원 순찰 강화 예고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26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내 접경지역 위험구역 설정 기간을 무기한으로 연장한다고 밝혔다. 2024.11.26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26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내 접경지역 위험구역 설정 기간을 무기한으로 연장한다고 밝혔다. 2024.11.26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

경기도가 파주시·연천군·김포시내 접경지역 위험구역 설정 기간을 무기한으로 연장한다.

경기도는 대북전단 살포 방지를 위해 이달 말까지 해당 구역을 위험구역으로 설정하겠다고 했는데, 위험 발생 우려가 여전해 위험구역 설정 조치를 유지하겠다고 결정했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26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겨울철에도 대북 전단 살포 가능한 기상 상황이 지속되는 점, 북한의 대북 전단 살포에 대한 위협이 계속되면서 접경지 주민들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위험구역 설정기간을 연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달 16일 파주시·연천군·김포시내 11곳을 위험구역으로 설정하고 오는 30일까지 대북전단 살포 목적의 출입 행위를 금지했다.

대북 전단 살포 관계자의 출입·행위금지 및 제한명령 위반 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지난달 31일 납북자가족모임이 대북전단 공개 살포를 예고하자 도 특사경 77명, 파주시 인력 70명을 비롯해 북부경찰청 기동대 8개 부대, 파주소방서 등 총 800명이 동원해 살포행위를 저지했다.

그러나 대북전단 살포 단체의 살포 예고가 이어지고 접경지역 주민들의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자 경기도는 위험구역 설정 기간을 ‘별도 해제 시’까지로 변경하기로 한 것이다.

위험구역에는 도 특사경 등 120여명이 매일 순찰 중이며 24시간 출동 가능한 현장 대응 체계를 구축한 상황이다.

이에 위험구역 설정 명령 이후 위험구역 내 대북전단 살포는 없었으며,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 행위도 줄어들었다는 설명이다. 북한은 지난 5월 28일부터 위험구역 설정 전까지 28차례에 걸쳐 오물 풍선 6천600여개를 날려보냈는데 위험구역 설정 이후에는 3차례에 90여개를 살포했다.

위험구역에 해당되는 지역은 지난번 설정 지역과 동일하며, 이외 지역에서도 특이한 움직임이 포착된다면 위험구역 설정을 검토할 방침이다.

이와는 별개로, 경기도는 대북 전단 살포단체 2곳에 대해 ‘항공안전법 위반’ 혐의로 수사를 의뢰해 의정부지검에 송치했다.

아울러 북한의 대남방송으로 피해가 큰 민북마을 46가구에 방음창을 설치하고, 상황 종료 시까지 임시숙소 지원과 건강검진 버스 등 의료 지원도 제공할 계획이다.

김 부지사는 “경기도는 가용한 행정력을 동원해 주민의 온전한 삶을 지키고 도민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는 타협없이 엄중하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이번 위험구역 설정 기간 연장이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부득이한 행정조치라는 점을 양해해 주시고 불편하시더라도 적극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