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가 17개 시도교육청과의 임금교섭에 난항을 겪으면서 다음 달 6일 파업을 결정했다. 경기도 내에서 지난 7월 이후 또다시 학교 현장의 파업이 진행되는 가운데 경기도교육청도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파업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26일 연대회의에 따르면 연대회의는 사측인 17개 시도교육청과의 임금교섭 협상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다음 달 6일 파업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연대회의는 지난 6월 교육부 및 17개 시도교육청에 임금교섭을 요구해 교섭을 진행해 왔다. 연대회의는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전국여성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등 3개의 노조로 구성됐다.
양측은 기본급 인상 폭을 두고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17개 시도교육청은 월 6만6천원의 기본급 인상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연대회의는 최근 2~3년간 급격한 물가 인상률에 비해 저율의 임금인상이 실질임금 삭감의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며 월 11만여원 정도 기본급을 올려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또 연대회의는 학교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 지역별, 직종별로 2~5만원 수준의 직무수당이 전부이며 이조차도 받지 못하는 직종이 있어 교육기관에 근무하는 모든 조합원에게 월 10만원의 직무보조비를 지급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17개 시도교육청은 이에 대해 수용거부 의사를 밝히고 있다.
연대회의는 지난달 총파업을 위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했고 82.8%의 투표율과 93.2%의 찬성률을 기록하며 파업을 위한 내부 동의를 마쳤다.
연대회의 관계자는 “12월 6일 파업을 할 것”이라며 “사측의 태도를 보고 추가파업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기지부는 경기도교육청과의 단체교섭이 원활하게 풀리지 않자 지난 7월 12일 파업을 단행한 바 있다. 당시 조합원인 조리 종사자들이 파업에 참여하면서 일부 학교에서는 밥 대신 빵으로 점심을 해결하는 등 급식에 어려움을 겪었다. 다음 달 파업이 진행되면 똑같은 일이 일어나는 셈이라 도교육청은 관련 회의를 열 계획을 잡는 등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상태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파업은 경기도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이뤄지는 것”이라며 “파업 대응 매뉴얼을 각 학교에 전파하고 내부적으로 파업 관련 대책 회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욱기자 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