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소시엄 선정 역사 철거 앞두고

보행자 통로-관통 도로 입장차

민간제안사업 또다시 표류 위기

동인천 민자역사 전경. 인천백화점 폐업에 이어 문을 연 쇼핑몰이 2009년 폐업하면서 10여 년째 비어 있다.  / 경인일보DB
동인천 민자역사 전경. 인천백화점 폐업에 이어 문을 연 쇼핑몰이 2009년 폐업하면서 10여 년째 비어 있다. / 경인일보DB

철거에 힘이 실리던 동인천 민자역사가 ‘행정 엇박자’라는 벽에 부딪혔다. 동인천 민자역사 일대 개발을 두고 국가철도공단과 인천도시공사(iH) 간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동인천역 일대 개발사업이 또 표류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6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국가철도공단이 주도하는 동인천 민자역사 철거·개발사업은 민간사업자 공모만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동인천 민자역사는 유치권을 둘러싸고 소송이 진행 중이었는데, 이달 초 열린 항소심에서 재판부가 국가철도공단의 손을 들어주며 개발의 길이 열렸다.

국가철도공단이 지난 7~10월 진행한 ‘동인천 민자역사 철거 및 복합개발사업 민간제안 공모’에서도 (주)한국토지신탁·(주)에스피씨파트너스 컨소시엄이 우수 제안자로 선정되면서, 동인천 민자역사는 철거에 한발 다가섰다. 해당 민간 사업자는 제물포구 청사로 활용할 업무시설을 비롯해 주거·판매시설 등으로 개발 계획을 제안했다.

그러나 동인천역 남북을 연결하는 통로를 두고 국가철도공단과 인천도시공사 간 입장 차가 발생했다. 동인천역은 철로를 중심으로 북측이 낮고 남측이 높은 지형으로 돼 있다. 민간제안 공모에 참여한 민간 사업자는 동인천역 남북을 연결하기 위해 ‘보행자 통로’를 만드는 구상을 내놨다. 국가철도공단은 이 구상을 바탕으로 내달 중 ‘민간사업자 모집 공모’를 시행한다는 방침이었다.

동인천역 북광장 일대 모습. /경인일보DB
동인천역 북광장 일대 모습. /경인일보DB

하지만 동인천역 북광장 등 일대 개발사업을 맡은 인천도시공사가 보행자 통로가 아닌 ‘관통도로’를 만들겠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민간 사업자 모집에 차질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인천도시공사는 내년 상반기 중 ‘동인천역 일원 도시개발사업 조사설계용역’을 실시할 예정인데, 이 용역에는 너비 50m, 폭 140m 규모의 관통도로가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차량이 오가는 관통도로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국가철도공단이 민간제안 공모를 실시하기 전 인천시 등 관계기관 의견을 취합할 당시 인천시는 ‘향후 민간공모(안)이 선정될 경우 관계기관 협의 등을 통해 관통도로(차량통행, 보행자 유무 등) 및 개발계획 변경을 검토하겠다’는 공문을 국가철도공단에 보냈다. 그러나 인천도시공사 용역에 관통도로 내용이 담기면서 국가철도공단은 난감하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은 “해당 관통도로는 대상 부지(국유지)의 30%가량을 차지한다”며 “관통도로 계획이 잡힐 경우 민간사업자는 사업성이 나오지 않는다며 안 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제야 괜찮은 업체(민간 사업자)가 붙어 민자역사 철거를 추진하게 됐는데, 인천시(인천도시공사)가 같은 부지에 대해 다른 안을 갖고 오니 곤란한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동인천 민자역사 일대는 추후 토지이용계획을 변경하는 등 국가철도공단의 개발계획을 반영할 여지가 있다”며 “국가철도공단과 협의체를 통해 지속해서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