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신규 지정 난색 ‘지지부진’

市 “기반시설 선행후 신청 계획”

영종도 제3유보지. /경인일보DB
영종도 제3유보지. /경인일보DB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인천 영종도 제3단계 유보지(이하 제3유보지) 개발 밑그림을 그리기 시작(11월26일자 12면 보도)했지만, 이 지역을 국가산업단지로 지정해 개발하는 계획은 국토교통부 난색으로 지지부진하다.

인천 영종 마지막 미개발 ‘제3유보지’ 밑그림 시작됐다

인천 영종 마지막 미개발 ‘제3유보지’ 밑그림 시작됐다

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영종도 제3유보지는 약 363만㎡ 규모로, LH와 iH(인천도시공사) 등이 소유하고 있다. 해당 부지 최대 소유주 LH는 경제자유구역법에 의거해 제3유보지 일부를 산업시설 용지로 활용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에
https://www.kyeongin.com/article/1719907

1일 인천시와 LH 등에 따르면, 영종도 제3유보지는 국가산단 지정을 목표로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 전략산업 특화단지’ 대상지에 포함됐다. 바이오 특화단지로 지정된 곳은 지방자치단체 신청 없이 산업부가 주체가 돼 국토부에 국가산단 지정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국토부가 국가산단 신규 지정에 대해 난색을 표하면서, 제3유보지를 국가산단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부는 균형발전을 이유로 수도권 지역의 국가산단 신규 지정을 지양하고 있다. 지난해 3월 국토부가 국가산단 신규 후보지로 15곳을 지정한 점도 제3유보지 국가산단 지정을 어렵게 하는 요소다. 이미 국가산단 수요가 많은 상태에서 신규를 늘릴 이유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바이오 특화단지로 선정된 곳이 국가산단으로 지정된 사례가 없는 점도 제3유보지 국가산단 지정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 중 하나다.

인천시는 국토부를 지속적으로 설득하면서, 일반산업단지 지정도 함께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바이오 특화단지가 반쪽짜리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선 “제3유보지 부지 활용에 대해 ‘첨단산업 유치’로 방향성을 확고히 한 데 의미가 있다”는 것이 인천시 설명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국가산단으로 지정을 받으려면 영종도 제3유보지에 실제로 들어올 기업이 얼마나 있는지 그 수요가 바탕이 돼야 한다”며 “송도국제도시 일대에 바이오 산업이 어느정도 들어서면 제3유보지에 들어설 기업이 생길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선 ‘개발계획 변경’을 먼저 진행해 기반시설 공사를 먼저 하고, (수요가 생길 때 쯤) 산업부와 함께 국가산단 지정 신청 계획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