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 침체·인건비 인상 등
회복세 더딜것… 금융권도 비관적
인천 지역 건설업계가 정부의 기준금리 인하 정책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부가 기준금리를 두 차례 연속 인하하면서 내수경제 부양에 나섰지만, 부동산 시장 침체와 고물가 기조에 따른 건설비·인건비 인상이라는 이중고에 건설업이 회복세로 전환하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달 28일 기준금리를 3.25%에서 3.00%로 0.25%p 낮췄다. 이와 관련해 인천 건설업계는 당분간 침체 분위기가 이어질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인천 검단신도시 등을 중심으로 아파트 시공을 맡는 지역 한 건설사 관계자는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금리가 두 자릿수에서 한 자릿수로 떨어져 이자 부담을 덜어내도 건설업계에 크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지는 미지수”라며 “분양시장이 좋지 않은 게 큰 문제인데 인천의 경우 건설사들이 공사를 수주해도 발주처에서 미분양 우려로 발주를 미루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지난해부터 금융 당국이 부실 PF 대출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 대출 요건 강화 대책을 내놓으면서 지역 건설사들은 PF 대출 금리가 떨어져도 정책 효과를 체감하기 힘들다고 했다.
또 다른 인천의 한 건설사 관계자는 “정부, 금융업계가 PF 대출을 할 때 건설사 자기자본비율을 확대하는 등 여러 조건을 내걸고 있어서 금리를 낮춰도 지역 중소 업체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가져다주기는 힘들 것”이라며 “건축 공사비가 평당 약 550만원에서 750만원 이상으로 뛴 데다, 정부가 부동산 가계대출을 옥죄고 있어서 금리 인하만으로는 현재 상황을 개선하기 힘든 구조”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도 부동산 시장이 침체하면서 기준금리 인하가 PF 대출 금리를 낮출 동력으로 작용하기에는 부족하다고 봤다. PF 위기는 시행사에서 건설사, 금융사로 확산하는 구조다. 이 때문에 수익성이 보장되는 일부 사업장을 제외하고는 PF 대출 승인이 나지 않는 분위기다.
한 시중은행 PF 대출 업무 담당자는 “PF는 분양을 통해서 매출, 즉 수익을 내는 구조인데 서울을 제외하고는 미분양이 속출하다 보니 금융권에서는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대출을 꺼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업계에서는 기준금리 인하 기조가 지속돼 2.25% 정도로 낮아지고 부동산 시장도 개선돼야 PF 대출 금리가 내려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