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립아트코리아](https://wimg.kyeongin.com/news/cms/2024/12/02/news-p.v1.20241202.160141545ae545af843bb46d0610281f_P2.webp)
첨단산업 연구개발의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양자컴퓨팅 기술을 실제 산업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부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연세대학교는 최근 ‘양자컴퓨팅 산업 활용 사업’ 착수 행사를 열었다고 2일 밝혔다.
이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관리하는 것으로, 착수 행사는 지난달 29일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열렸다.
산업부는 연세대가 최근 자체적으로 구축한 양자컴퓨터를 국내 기업이 신속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이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연세대 산업협력단이 사업 주관 기관으로 선정됐으며, 올해부터 2028년까지 국비 등 총 178억원이 투입된다.
산업부는 연세대가 도입한 양자컴퓨터를 활용, 이를 실제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에 필요한 추가 장비인 양자 에뮬레이터 구축과 양자 알고리즘 개발을 지원한다.
양자 에뮬레이터는 기존 컴퓨터에서도 양자 연산을 모방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양자 알고리즘 개발·테스트, 이론적 모델 검증 등에 활용된다.
산업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바이오, 화학, 소재, 물류 등 활용 분야에서 기업의 실제 수요를 발굴하고, 비즈니스 모델이 구축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계에서는 슈퍼 컴퓨터보다 빠른 속도로 계산할 수 있는 양자컴퓨터로 바이오·신약 분야에서 후보 물질 생성, 물질 구조 조합 최적화 등의 작업 속도와 효율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세대 양자사업단 정재호 단장은 “양자컴퓨팅 상용화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려면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 체계가 반드시 구축돼야 한다”며 “연세대의 양자컴퓨팅 인프라와 전문 연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업들과 협업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