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에 건의사항 담긴 청원서

유엔군 주둔·차도선 투입 등 내용

거주 인구 울릉군보다 많지만 열악

2일 서해5도 주민들로 구성된 ‘안보특구 5도서 옹진군복귀 비상대책위원회’가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6·25 상징탑 앞에서 집회를 열고 서해 5도만의 ‘안보특구’ 지정을 촉구하고 있다. 2024.12.2 /비대위 제공
2일 서해5도 주민들로 구성된 ‘안보특구 5도서 옹진군복귀 비상대책위원회’가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6·25 상징탑 앞에서 집회를 열고 서해 5도만의 ‘안보특구’ 지정을 촉구하고 있다. 2024.12.2 /비대위 제공

서해 5도 주민들이 대통령실을 향해 생존권 보장을 촉구했다.

올해 초 인천시가 정부에 건의한 서해 5도 ‘컨트롤 타워’ 마련과 옹진군이 추진 중인 ‘특별자치군’ 도입을 넘어 서해 5도를 별도의 ‘안보특구’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안보특구 5도서 옹진군복귀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2일 오전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6·25 상징탑 앞에서 집회를 열고 서해 5도 주민들의 건의사항이 담긴 청원서를 대통령실 관계자에게 건넸다.

2일 오후 인천 옹진군청 앞에서 서해5도 주민들이 안보특구 지정 및 이동권 보장 요구 집회를 하고 있다. 2024.12.2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2일 오후 인천 옹진군청 앞에서 서해5도 주민들이 안보특구 지정 및 이동권 보장 요구 집회를 하고 있다. 2024.12.2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청원서에는 ▲서해 5도 안보특구 개편 ▲유엔(UN)군 주둔을 통한 주민 안전 보장 ▲안전·자유·행복 추구 위한 인간안보 보장 ▲백령~인천항로 차도선 즉시 건조·투입 및 연평신항 조기 건설 ▲연평항 오전 출항 여객선 도입 등이 담겼다.

비대위가 주장하는 서해 5도 안보특구는 백령·대청·소청·연평·소연평 5개 섬을 울릉군과 같이 독립된 기초자치단체의 형태로 만들어 달라는 것이다. 서해 5도 면적은 약 73㎢로 울릉군(74㎢)과 비슷하다. 인구수도 서해 5도 8천440명(2023년 10월 기준), 울릉군 9천90명으로 유사하다. 서해 5도에서 복무하는 군인까지 포함하면 실제 거주 인구는 서해 5도가 울릉군보다 많다. 하지만 차도선 운항을 비롯해 육지와 섬을 오가는 배편 등은 서해 5도가 더 열악하다.

2일 오후 인천 옹진군청 앞에서 서해5도 주민들이 안보특구 지정 및 이동권 보장 요구 집회를 하고 있다. 2024.12.2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2일 오후 인천 옹진군청 앞에서 서해5도 주민들이 안보특구 지정 및 이동권 보장 요구 집회를 하고 있다. 2024.12.2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한반도의 화약고로 불리는 서해 5도에 대한 특별관리 요구는 앞서 인천시 차원에서도 제기된 바 있다. 유정복 인천시장이 2022년 10월 연평도를 방문해 ‘서해 5도 특별행정구역’ 격상을 처음 언급했고, 인천시는 이를 구체화해 올해 초 서해 5도의 행정 지원을 총괄할 국무총리 소속 ‘서해 5도 특별추진단’ 신설을 행정안전부에 건의했다. 옹진군은 접경지역 특성을 고려한 새 행정 모델인 ‘특별자치군’ 설립을 위해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결국 이 모든 게 정부 의지에 달렸지만 현재까지 관계 당국의 움직임은 없는 상태다. 서해 5도 주민들이 배를 타고 나와 서울 용산까지 찾아간 이유다.

비대위는 “북한은 1973년 10월부터 같은 해 11월까지 43회에 걸쳐 NLL(북방한계선)을 의도적으로 침범했다. 또 제1·2연평해전, 대청해전,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전 등 현재까지 크고 작은 450건 이상의 무력 도발을 자행했다”며 “서해 5도 주민들은 70년을 수도 서울을 지키기 위한 ‘인계철선’으로 희생했다”고 했다.

이어 “지정학적 특수성이 반영된 옹진군의 정체성을 다시 찾고 반드시 쟁취해야 할 숙원사업을 위해 연대할 것”이라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