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시내버스 출퇴근 집중배차
혼잡 대비, 400여대 예비車 준비
종료까지 24시간 운영·모니터링

경기도가 코레일 철도노조와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총파업에 대비해 시외·광역·시내버스 증차와 마을버스 막차 시간 연장 등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
4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파업 하루 전인 이날부터 비상수송대책본부 상황실을 구성해 파업 종료 시까지 24시간 운영할 예정이다.
대책본부는 경기지역을 경의권, 경원권, 동부권, 동남권, 경부권, 서해안권 6개 권역으로 구분해 권역별 서울 진출입 광역버스 202개 노선에 2천141대, 시내버스 46개 노선에 450대를 출퇴근 시간대에 집중배차해 수송력을 향상할 계획이다.
또 이용 수요를 모니터링해 혼잡률 증가 노선에 대해서는 광역버스 124대, 시내버스 280대의 예비차량을 투입하고 필요시 전세버스를 동원할 예정이다.
시외버스는 업체별 보유 예비차를 활용해 5개 권역(수도권, 충청권, 강원권, 호남권, 영남권)으로 구분하고 45개 노선에 97대를 증차해 152회 증회 운행한다.
마을버스는 832개 노선, 2천923대에 대해 필요시 시군 자체 실정에 맞춰 심야 막차시간을 1시간 연장 운행하며 택시조합과 시군에도 요청해 파업기간 중 택시 운행을 적극 독려할 예정이다.
아울러 도는 시군 통합관제센터 CCTV 등을 활용한 모니터링을 통해 인파밀집 사고 등 비상상황 발생에 대비하고 도 소관 6개 노선(의정부경전철, 용인경전철, 김포골드라인, 하남선, 부천선, 별내선) 주요 역에는 안전요원을 추가 배치할 방침이다.
한태우 경기도 철도운영과장은 “철도 파업 시 도민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대체교통수단 지원 및 인파밀집 등 상황 모니터링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이영선기자 ze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