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올해 광역 최초 ‘ESG기본계획’ 발표

경기연구원은 ‘ESG 종말론 ESG 공공조직 내재화 적극 추진하자’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경기도 제공
경기연구원은 ‘ESG 종말론 ESG 공공조직 내재화 적극 추진하자’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경기도 제공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책이 ‘안티ESG(Anti-ESG)’ 추세로 돌아선 분위기 속에, 경기도 ESG 정책의 방향에 대해 ‘공공조직 내재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ESG 종말론 ESG 공공조직 내재화 적극 추진하자’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현재 미국 증권거래연구소(SEC) 기후공시 의무화 규정 폐기가 전망돼 차기 미국정부 ESG 정책에 대한 우려가 크고, 국내 정책도 주춤하는 등 급기야 ESG 종말론이 등장한 상황이다.

각종 민간연구소에서 조사한 결과, 경기도는 광역단위에서 가장 ESG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올해 안 광역 최초로 ESG기본계획을 발표할 예정이기도 하다.

이에 경기연구원은 글로벌 ESG 투자와 규제를 전망하고, 공공조직 ESG 확산 필요성 분석을 통해 기반 조성기에 있는 경기도 ESG 정책 방향과 핵심과제에 대해 의견을 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단기적 후퇴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ESG 경영과 투자는 지속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ESG가 공공조직과 맞지 않고 중복이라는 부정적 의견에 대해 오히려 공공조직 내재화가 필요하다고 꼽았다.

먼저 공공조직은 기본권 보호자로서 ESG의 본질인 공익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한다. ESG는 이해관계가 공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이를 공공조직에 적용시 조직 운영의 민주성을 높일 것이라는 설명이다.

아울러 공시, 이중중요성 평가 과학기반 기후데이터 등에서 ESG가 행정 투명성을 높여 신뢰도에 기여할 것으로 봤다.

재정규모 1천960조, 154만명의 공직자, 209조에 달하는 공공조달 등 가장 큰 소비자이자 투자자인 공공조직의 ESG 내재화는 사회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분석도 덧붙였다.

따라서 연구원은 공공조직 전략, 운영, 공시, 기업 지원 정책 영역에서 추진해야 하는 정책의제와 핵심과제로 지속가능성 공시 단계적 의무화 로드맵을 제안했다.

단계적으로 2025년 경기형 공시 가이드라인 개발과 전문인력 양성, 2026년 자율공시 의무화, 2027년 경기ESG데이터플랫폼 개발, 2028년 공공조직 공시 완전 의무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정상훈 경기연구원 ESG정책연구센터장은 “ESG는 기업 경영의 뉴노멀이 됐고 용어는 바뀔 수 있어도 가치와 전략은 중장기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 글로벌 흐름”이라며 “ESG의 내재화는 공공 조직에 꼭 필요하며, 특히 지속가능성 공시의 단계적 의무화를 통해 민주적 거버넌스가 획기적으로 혁신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