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성남 등에서 “경기남부광역철도 배제” 논란 제기
김동연 해명에도 논란…30일 이내 도지사 답변 의무

경기도가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을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우선순위 사업에서 배척했다는 논란 속에(11월28일자 1면보도),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에 힘써달라”는 경기도민청원에 1만명이 넘게 서명했다.
5일 경기도민청원 홈페이지를 보면 지난달 18일 올라온 해당 청원에는 이날 오후 6시 기준 1만94명이 서명해 경기도지사 답변 기준을 넘어섰다.
청원인은 “최근 경기도와 김동연 도지사는 GTX 플러스 공약을 우선시하고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은 외면하고 있어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며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은 GTX플러스보다 더 시급한 과제가 돼 가고 있다.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지역 주민들의 교통 복지와 안전을 고려한 교통망 확충에 힘써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특히 수원은 대중교통이 부족해 혼잡을 겪고 있다. 또한, 3기 신도시(진안신도시) 개발로 인해 인구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교통 인프라 대비가 더욱 필요해지고 있다.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은 지역 주민들의 오랜 숙원이며, 이를 통해 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함께 도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해 10월 국토부가 배포한 가이드라인에 맞춰 지난 2월과 5월 고속·일반철도와 광역철도 사업을 각각 건의했다.
그러나 이상일 용인특례시장과 신상진 성남시장은 경기도가 최우선 순위로 GTX 플러스 3개 사업을 국토부에 건의했고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은 배제했다고 주장했다.
GTX 플러스 3개 노선(GTX G·H노선 신설, C노선 연장)이 김 지사의 공약 사업이기 때문에 다른 사업보다 우선시 했다는 것이다.
이에 지난달 27일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는 시·군에서 건의한 모든 사업을 국토부에 건의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오 부지사는 “국토부에서 지자체 의견 등을 종합 검토한다는 이유로 전국 17개 지자체에 우선순위 3개 사업을 요구했기 때문에 경기도는 수용하기 어려웠지만 국토부와의 관계를 고려, 부득이하게 3개 노선을 건의한 것이다. 이와 동시에 경기도 건의 사업 모두를 검토·반영해달라고 요청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지사도 지난달 29일 본회의에서 열린 도정질문 답변을 통해 “일부 지자체 등에서 말하는 3개의 GTX 노선 사업들만 들어갔다고 하는 건 사실이 아니다”라고 했지만 논란이 사그라들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 김동연 지사는 30일 이내에 직접 혹은 서면으로 해당 청원에 대해 답해야한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