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 둔 지자체 참여 의향서 필요
주민 반발 등 강화군 ‘반대’ 유지

인천 갯벌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2단계 등재가 사실상 무산됐다.
5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인천 갯벌 등재 예정지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관할하는 강화군은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2단계 ‘한국의 갯벌’ 구역에 포함하기 위해선 갯벌을 둔 기초자치단체의 참여 의향서가 필요하다.
당초 강화군은 ‘주민 반발’ ‘중복 규제’ 우려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에 동의하지 않았다.
지난 3월 유천호 강화군수가 별세한 이후에는 군수 부재를 이유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하지 않았다.
지난 10월 박용철 신임 강화군수 취임 이후 강화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현안과 관련해 재검토에 나섰지만, 최근 반대 입장을 유지하는 쪽으로 방침을 정했다.
강화군 관계자는 “(신임 강화군수 취임 이후) 세계유산 등재에 대한 찬반 의견을 다시 들어보며 사안을 검토했고, 등재는 어렵다는 입장을 유지하기로 했다”며 “주민들에게 찬성, 반대 등 다양한 의견을 들으면서 개선할 점이 있으면 고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강화 갯벌 면적은 약 435㎢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2단계 등재 대상으로 지목된 인천 갯벌 중 규모가 가장 크다. 국내에서는 전남 신안 갯벌 다음으로 넓다.
인천 갯벌의 일부인 옹진군(장봉도 습지보호구역·68.4㎢)은 인천국제공항 등의 영향으로 강화 갯벌에 비해 상대적으로 철새 서식지로서의 역할이 작다. 연수구 송도 갯벌은 면적이 6.71㎢로 작아 강화 갯벌과 함께하지 않는다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지정 기준에 부합할 수 없다.
국가유산청은 내달 15일께 유네스코에 최종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이 마련한 초안에 인천 갯벌을 반영하려면 관련 데이터 분석 자료를 추가해야 하고 영문 번역 작업도 필요해 늦어도 이달 중에는 강화군 등의 참여의향서가 제출돼야 한다.
국가유산청은 인천의 갯벌을 제외한 전남 무안, 고흥, 여수 갯벌을 2단계 추가 대상지로 정한 상태다. 이들 대상지의 추가 등재 여부는 2026년으로 예정된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인천시 관계자는 “3단계 등재를 추진하게 될지, 주민 수용성을 더 확보해야 할지 등은 2026년 유네스코가 내리는 결정을 봐야 알 수 있다”며 “2단계 등재 시점까지 상황을 지켜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유네스코는 충남 서천, 전북 고창, 전남 신안과 보성·순천 등 4개 지역으로 구성된 한국의 갯벌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면서, 2단계 유산 구역을 인천·경기 갯벌 등으로 확대하라고 권고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