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이종신 도시균형국장은 5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작전역 도시재생혁신지구 지정’ ‘노후계획도시 정비·지원’ 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행정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계양구 작전역 일대를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혁신지구’로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 원도심 역세권 활성화 방안 용역을 통해 작전역세권을 시범사업 대상지로 낙점한 인천시는 지난 10월 국토부 공모에 신청했다. 결과는 이달 말께 나올 전망이다.

작전역세권이 후보지로 선정된 이유는 교통 접근성 때문이다. 인천지하철 1호선과 간선급행버스(BRT)가 교차하는 작전역은 향후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D·E 노선 반영이 계획돼 있어 서울과 접근성이 높고, 재개발·재건축 사업도 진행되고 있다. 인천시는 이러한 입지를 활용해 작전역세권 공영주차장 부지 5만8천637㎡에 7천752억원을 투입해 고밀·복합개발을 추진할 방침이다.

작전역세권 도시재생혁신지구에는 청년·신혼부부 맞춤형 주택 1천66가구와 문화·체육시설 등 생활 기반시설이 도입된다. 인천시는 지난달부터 착수한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 확정·고시를 위한 절차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인천지역 노후계획도시는 연수(621만㎡), 구월(126만㎡), 계산(161만㎡), 갈산·부평·부개(161만㎡), 만수 1·2·3(145만㎡) 등 조성된 지 20년이 넘은 100만㎡ 이상 택지다. 내년 9월까지 기본계획안 작성을 완료한 뒤 주민 공람과 시의회 의견 청취 등 절차를 거쳐 2026년 3월 확정·고시한다는 계획이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