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인권센터는 6일 “2차 비상계엄 의심 정황이 포착됐다”며 “복수의 육군 부대가 탄핵안 표결 다음날까지 ‘지휘관 비상소집 대비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군인권센터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육군에서 이상 징후가 제보되고 있다”며 “복수의 부대는 상급부대 지침에 따라 4일 오전 11시 또는 12시 경 전 장병 출타 정상 시행 지침을 하달하면서 지휘관(중대장 이상)은 8일까지 지휘관 비상소집이 있을 수 있으므로 휴가를 통제한다는 지침을 덧붙였다”고 전했다.
군인권센터는 “비상계엄이 해제됐음에도 불구하고 육군 부대들이 여전히 비상 상황을 유지하고 비상소집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1차 계엄이 실패했다고 해서 계엄 선포 사실이 희화화되거나 윤석열을 가능성 없는 무리수를 둔 바보로 치부해선 안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직 그에겐 유효한 권련이 있다. 위헌, 위법한 계엄을 선포해도 권력을 이어갈 수 있는 정치적 지지 기반을 갖추게 된다면 계엄은 윤석열에게 언제나 유효한 수단이 된다”며 “지금은 안심하거나 저축하기엔 이른시기”라고 했다.
이어 “육군은 정치 상황에 대한 대비를 즉각 중단하고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라”며 “국회 역시 관련한 실태를 엄중히 파악하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수진기자 nur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