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6억원 추가 지원

소상공인 지원, 공공시설 복구, 축산농가 지원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6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가 폭설 피해 복구를 위해 총 677억5천만원 규모의 재정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2024.12.6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6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가 폭설 피해 복구를 위해 총 677억5천만원 규모의 재정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2024.12.6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

경기도가 폭설 피해 복구를 위해 총 677억5천만원 규모의 재정을 소상공인 지원, 다중 이용 공공시설 복구, 축산 시설 철거 등에 투입한다.

지난번 투입 결정한 301억5천만원 예비비에 더해 376억원의 기금, 예비비, 특별조정교부금 등을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6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5일 경기도는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재난관리기금 30억원, 재해구호기금 300억원, 예비비 30억원, 특별조정교부금 16억 원등 총 376억 원을 추가 지원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필요하다면 더 지출해서라도 폭설피해를 복구하겠다”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약속에 따른 것이다. 지난 2일 김 지사는 안성·평택 등 폭설 피해현장을 방문해 “통상적인 것을 뛰어넘는 절차와 방법으로 빠른 시간 내에 (피해를) 복구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번 결정으로 폭설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은 최대 1천만원까지 긴급생활안정비를 지급받을 수 있다.

도는 재해구호기금을 기존 200만원에서 최대 700만원까지 추가 지원할 방침이다. 여기에 기존 지원하던 재난지원금 300만원을 합치면 1천만원까지 지원 가능하다.

다만, 재해구호기금 지원 금액은 소상공인 피해 건수 집계 후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가 편성한 300억원에서 소상공인이 5천명이라면 각 600만원씩 지급된다.

현재 각 시군을 통해 피해건수를 집계 중이며 12월 중순 이후 지급이 안내될 예정이다.

또한 도는 예비비를 30억원 증액해 총 50억원으로 붕괴된 축사 철거, 고립된 가축 구조, 폐사된 가축 처리 등을 돕는다.

도는 예비비 지원계획을 이미 시·군에 통보했으며, 폐사 가축은 먼저 처리하도록 조치한 바 있다.

특별조정교부금 16억원은 농수산물시장, 체육시설 등 공공분야 피해 복구를 위해 사용된다.

아울러 도는 안성·평택·이천·화성·용인·여주·광주·안산·시흥 등 9개 시군과 오산 초평동 1개 동의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정부에 요청했다.

지난달 29일부터 이날 오전 9시까지 신고된 도내 시군별 피해금액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안성이다. 안성의 피해규모는 1천160억원이고, 화성 692억원, 평택 627억원 순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김성중 부지사는 “피해 지역 주민들이 재난지원금 추가 지원, 세제 감면 등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중앙정부가 특별재난지역을 신속하게 선포해 주길 바란다”며 “지난 5일 열린 행정안전부 재난안전본부장 주재 대설복구대책 긴급점검회의에서도 본부장이 적극 검토 의사를 밝혔다. 지난 2일부터 행안부의 사전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특별재난지역 선포 절차가 정상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김 부지사는 “경기도는 신속한 재난극복을 위해 경기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수습복구 체계로 전환해 시·군과 함께 ‘경기도 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하며 신속한 피해 복구를 위해 모든 행정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경기도정을 믿고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말고 재난 극복을 위해 각자의 자리에서 노력하여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