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인천지부 총파업 대회에 참여한 노동자들이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의 처우를 개선해달라고 촉구했다. 2024.12.6 /송윤지기자 ssong@kyeongin.com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인천지부 총파업 대회에 참여한 노동자들이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의 처우를 개선해달라고 촉구했다. 2024.12.6 /송윤지기자 ssong@kyeongin.com

학교 내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이 열악한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6일 하루 총파업에 나섰다.

민주노총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인천지부(이하 노조)는 6일 오전 10시께 인천시교육청 앞에서 총파업 대회를 열고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의 처우를 개선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날 파업에 참여한 인천지역 노동자들은 급식실 조리실무사·특수교육실무사·초등돌봄상담사 등 교육공무직 노동자 1천여 명이다.

노조는 지난달 인천시교육청과 진행한 교섭에서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의 기본급 정상화, 위험수당 월 5만원 인상, 복리후생 차별 해소 등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들은 결의문을 통해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은 최저임금도 되지 않는 기본급, 복리후생 차별, 기본적인 근속도 적용받지 못해 몇 년째 동결된 임금으로 고통받고 있다”며 “불평등과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경고의 의미를 담아 학교를 잠시 멈춰 세웠다”고 밝혔다.

파업에 참여한 20년차 특수교육실무사 윤모(42)씨는 “아이들을 돌보며 생기는 상처에 제대로된 보호도 보상도 받지 못한다”며 “학교 공사로 방학이 길어지면 기본급조차 받지 못해 무임금으로 몇달을 버텨야 한다”고 토로했다.

15년차 중학교 급식실 조리실무사 최윤영(47)씨는 “조리실무사인 동시에 학부모로서 오늘 하루동안 아이들에게 밥을 주지 못하는 것에 대해 마음이 아팠다”면서도 “15년간 일을 하니 폐결절과 허리디스크 등 다양한 질병에 걸렸다. 위험한 환경에서 일을 하면서도 최저임금에 가까운 임금을 받는 조리실무사들의 처우를 이제는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노조는 교섭 타결을 위해 인천시교육청과 협상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파업에 참여한 노동자들은 9일부터 업무에 복귀한다.

/송윤지기자 ss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