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청 200곳 입주

공공기관 차원 조치 공통 목소리

인천경제자유구역 전경. /경인일보DB
인천경제자유구역 전경. /경인일보DB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외국인투자기업들이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으로 인한 정세 불안에 큰 혼란을 겪고 있다. 일부 업체는 이 같은 불안 상황이 지속될 경우 생산 기지를 다른 국가로 옮길 수밖에 없다는 입장까지 내비치고 있는 상황이다.

8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인천 송도국제도시 등 경제자유구역에 입주한 외투기업들은 안정적인 기업 활동을 보증하는 확약서 제출, 대응 매뉴얼 마련 등 공공기관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데 공통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로, 현재 200여개의 외투기업이 있다.

일본 세포배양배지 전문기업 아지노모도셀리스트코리아는 지난 5일 인천경제청이 개최한 긴급 간담회에서 “현재 한국의 상황이 기업 경제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공문을 발급해달라”며 “다른 고객사의 불안감을 낮출 수 있는 안전 확약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반도체 후공정 기업 앰코테크놀로지는 “반도체 수출 계약을 하루 단위로 체결하고 있어 한국의 정치 상황으로 물량 선적이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 공급 기지를 대만으로 바꿀 수밖에 없다”며 “비상계엄으로 주한 미국대사관이 일시적으로 비자업무를 중단하는 등 여러 불안 요소들이 감지되고 있어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기업들도 정국 혼란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 무역 기조로 고율의 관세 부과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설상가상으로 대내적 요인으로 해외 수출, 투자 유치가 한층 더 위축될 것으로 내다봤다.

인천에 본사를 둔 반도체 부품 제조 기업 관계자는 “(비상계엄이)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묻는 고객사가 많아서 메일과 전화로 상황을 설명했다”며 “향후 국가 신인도 하락 등 대외적 지표가 악화하면 재계약, 신규 투자처 발굴에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외투기업들의 불안이 가중되면서 자치단체와 정부 관련 부처들도 대책 마련에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외투기업과 소통 창구를 활성화해 이들 기업이 안정을 되찾을 수 있도록 총력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한국무역협회 인천지역본부도 현재 정세가 장단기적으로 기업 수출 상황에 미칠 연구에 착수해 대응책을 찾기로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