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언론, 대통령 사임 등 요구 촉발
유럽·日·中 언론, 혼란 확산 전망

외신들은 탄핵표결 무산과 관련해 한국의 정치적 혼란이 더 길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표 참조
직무정지는 면했지만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미래가 밝지 않다는 분석도 내놨다.
워싱턴포스트(WP)는 “한국 대통령이 계엄령 실책 이후 탄핵을 피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표결 불발은 추가적인 정치적 혼란과 대통령 사임에 대한 대중의 요구 증대를 촉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썼다.
뉴욕타임스(NYT)는 “윤 대통령 탄핵 시도가 실패로 끝나면서 이번 주 짧은 계엄령 발효 이후 한국을 뒤흔든 정치적 격변과 불확실성이 길어지게 됐다”고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대통령 탄핵 시도가 무산된 것은 한국을 뒤흔든 정치적 혼란을 연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AP통신은 “많은 전문가가 윤 대통령이 남은 2년 반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한다”며 “그들은 국민의 탄핵 요구가 더 커지면 일부 국민의힘 의원들이 결국 야당의 윤 대통령 탄핵 노력에 동참할 수 있다고 말한다”고 보도했다.
유럽언론도 정치적 혼란이 고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프랑스 일간 르몽드는 윤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에서 ‘임기 단축을 포함한 정국 안정 방안을 당에 일임하겠다’고 밝혔지만, 이 짧은 연설은 국민들의 분노를 진정시키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한국 민주주의의 지속성과 취약성을 모두 보여준 격동의 한 주를 거쳐 이번 탄핵안 무산으로 한국의 정치적 혼란이 고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 주요 언론 역시 8일 탄핵소추안 표결 무산을 1면 머리기사로 비중 있게 전하면서 혼란 확산을 전망했다.
한편 중국 신화통신 자매지 참고소식은 8일 ‘구중친일(仇中親日·중국을 미워하고 일본과 가깝게 지냄), 윤석열 탄핵안 세부내용 공개’라는 제목의 기사를 올렸다.
야 6당이 지난 4일 공개한 소추안은 “(윤 대통령이) 소위 가치외교라는 미명 하에 지정학적 균형을 도외시한 채 북한과 중국, 러시아를 적대시하고, 일본 중심의 기이한 외교정책을 고집하며 일본에 경도된 인사를 정부 주요 직위에 임명하는 등의 정책을 펼침으로써 동북아에서 고립을 자초하고 전쟁의 위기를 촉발시켜 국가 안보와 국민 보호 의무를 내팽개쳐 왔다”고 지적한 점을 언급한 것이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