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한덕수, 공동 담화 발표

국힘 ‘윤석열 퇴진’ 로드맵 준비

6개월 시한·임기단축 개헌 이견

한덕수 국무총리와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국정 수습 방안을 담은 공동 담화문을 발표하기 위해 회견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2024.12.8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와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국정 수습 방안을 담은 공동 담화문을 발표하기 위해 회견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2024.12.8 /연합뉴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8일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회동을 하고 민생안정·국민안심을 위한 대국민 공동담화를 발표했다. 한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의 임기 단축에 대해 “질서 있는 퇴진으로 혼란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비상계엄 선언을 폭거로 규정하고 ‘질서 있는 조기퇴진’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면서 “당내 논의를 거쳐 그 구체적 방안들을 조속히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임기 문제와 관련, “퇴진 전이라도 대통령은 외교를 포함한 국정에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비상계엄사태와 관련한 수사에 대해서도 “지금 진행되는 비상계엄사태에 대한 수사기관 수사가 엄정하고 성역 없이, 투명하게 이뤄질 수 있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대표는 국무총리 간 회동을 정례화해 국정 공백이 없게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한 총리도 공동담화를 통해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고개 숙여 사과했다. 한 총리는 “저를 포함한 모든 국무위원들과 부처의 공직자들은 국민의 뜻을 최우선에 두고 여당과 함께 지혜를 모아 모든 국가기능을 안정적이고 윤활하게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국정 수습 방안을 담은 공동 담화문을 발표하는 한덕수 국무총리를 바라보고 있다. 2024.12.8 /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국정 수습 방안을 담은 공동 담화문을 발표하는 한덕수 국무총리를 바라보고 있다. 2024.12.8 /연합뉴스

이에 따라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윤 대통령의 임기 단축을 위한 ‘질서 있는 조기퇴진’ 로드맵 마련에 착수했다.

관전 포인트는 그 시기와 방식이다. 당장 한 대표가 밝힌 ‘조기퇴진’의 시점을 두고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 간 갈등이 엿보인다.

친한계의 한 의원은 탄핵에 따른 퇴진 시기는 최장 6개월을 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친윤계에서는 시기를 못박기보다 윤 대통령의 ‘2선 후퇴’, 임기 단축 개헌, 책임총리제 등 이른바 ‘질서 있는 퇴진’ 로드맵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임기 단축 개헌을 통해 2026년 6월 지방선거 때 ‘조기 대선’을 함께 치를 수 있다. 그 전에 윤 대통령은 2선으로 물러나고 책임총리 또는 거국 중립내각을 구성하자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친윤계의 한 의원은 “임기를 다 채울 수 없다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며 “국정 혼란을 막기 위해서는 임기 단축 개헌 등을 통한 질서 있는 마무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