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한덕수, 공동 담화 발표
국힘 ‘윤석열 퇴진’ 로드맵 준비
6개월 시한·임기단축 개헌 이견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8일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회동을 하고 민생안정·국민안심을 위한 대국민 공동담화를 발표했다. 한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의 임기 단축에 대해 “질서 있는 퇴진으로 혼란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비상계엄 선언을 폭거로 규정하고 ‘질서 있는 조기퇴진’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면서 “당내 논의를 거쳐 그 구체적 방안들을 조속히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임기 문제와 관련, “퇴진 전이라도 대통령은 외교를 포함한 국정에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비상계엄사태와 관련한 수사에 대해서도 “지금 진행되는 비상계엄사태에 대한 수사기관 수사가 엄정하고 성역 없이, 투명하게 이뤄질 수 있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대표는 국무총리 간 회동을 정례화해 국정 공백이 없게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한 총리도 공동담화를 통해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고개 숙여 사과했다. 한 총리는 “저를 포함한 모든 국무위원들과 부처의 공직자들은 국민의 뜻을 최우선에 두고 여당과 함께 지혜를 모아 모든 국가기능을 안정적이고 윤활하게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윤 대통령의 임기 단축을 위한 ‘질서 있는 조기퇴진’ 로드맵 마련에 착수했다.
관전 포인트는 그 시기와 방식이다. 당장 한 대표가 밝힌 ‘조기퇴진’의 시점을 두고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 간 갈등이 엿보인다.
친한계의 한 의원은 탄핵에 따른 퇴진 시기는 최장 6개월을 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친윤계에서는 시기를 못박기보다 윤 대통령의 ‘2선 후퇴’, 임기 단축 개헌, 책임총리제 등 이른바 ‘질서 있는 퇴진’ 로드맵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임기 단축 개헌을 통해 2026년 6월 지방선거 때 ‘조기 대선’을 함께 치를 수 있다. 그 전에 윤 대통령은 2선으로 물러나고 책임총리 또는 거국 중립내각을 구성하자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친윤계의 한 의원은 “임기를 다 채울 수 없다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며 “국정 혼란을 막기 위해서는 임기 단축 개헌 등을 통한 질서 있는 마무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