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신용보증재단(이사장 시석중·이하 경기신보)이 폭설로 피해 입은 도내 기업들의 회복을 위해 특별자금 지원규모를 늘리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경기신보는 10일 경기도 중소기업 육성자금 중 ‘재해피해 특별경영자금’의 지원규모를 기존 200억원에서 800억원으로 확대했다고 밝혔다.
최근 폭설 피해 기업들의 자금 신청이 늘어나면서 기존 한도인 200억원이 조기 소진돼 600억원을 추가 편성한 것이다.
‘재해피해 특별경영자금’ 지원 대상은 관할 지자체로부터 재해중소기업 확인증 또는 피해사실확인서를 발급받은 기업이다. 기업융자한도는 중소기업 최대 5억원, 소상공인 최대 5천만원이며 융자기간은 4년(1년 거치, 3년 균등분할 상환)이다. 특히 경기도의 이차보전 지원으로 대출 금리를 은행 금리 대비 1.5%p(소상공인 2.0%p) 낮춰 기업 부담을 줄였다.
또한, 피해 기업들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신청할 수 있도록 특별경영자금 신청 마감 기한을 기존 오는 12일(온라인)과 오는 13일(내방)에서 오는 26일로 연장했다.
아울러, 경기신보는 ‘재해중소기업에 대한 특례보증’을 통해 재해기업에 대한 보증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특례보증 지원 대상도 재해중소기업 확인증 또는 피해사실확인서를 발급받은 기업이다. 운전자금은 업체당 최대 3억원 또는 재해 관련 피해 금액 중 적은 금액을 지원하며, 시설자금은 당해 재해 관련 피해 금액 내에서 시설의 소요자금 범위 내에서 지원한다. 보증비율은 100%이며, 보증료율은 연 0.5%(특별재해 연 0.1%)이다.
뿐만 아니라 경기신보는 지난 4일부터 폭설 피해가 집중된 용인시, 이천시, 안성시에 대설 피해 통합지원센터를 마련해 피해 기업을 대상으로 융자 및 특례보증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피해 기업들이 재단 지점을 방문하지 않고도 현장에서 자금지원 상담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경기신보는 경기도와 도내 31개 시군과 협력 체제를 유지하며 긴급 대응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시석중 이사장은 “고금리와 경기 침체,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도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폭설 피해로 추가적인 부담을 겪지 않도록 상황을 면밀히 살피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며 “경기도와 시군과 협력해 필요한 자금이 적시에 지원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