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 속 순항에 의문 커지는 철도 지하화
지자체들 공동 대응 통해 선도사업 선정 촉구
최대호·하은호 시장 “지역에 반드시 필요”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탄핵 정국 속 철도 지하화 사업이 순항할지 의문이 커지면서 일부 지자체들이 공동 대응에 나선 가운데(12월12일자 8면 보도), 최대호 안양시장과 하은호 군포시장도 경부선 지하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지난 11일 경기도 안양·군포시와 서울 용산·동작·영등포·구로·금천구는 용산구청에서 회의를 열어 경부선 지하화 선도사업 지정을 촉구하는 공동 건의문을 채택, 정부에 전달키로 했다. 회의에는 최대호 안양시장, 안동광 군포시 부시장, 박희영 용산구청장, 장영민 동작부구청장, 최호권 영등포구청장, 엄의식 구로부구청장(구로구청장 권한대행), 유성훈 금천구청장이 참석했다.
이들 지자체가 지하화를 추진해온 구간은 수도권 전철 1호선 중 서울역부터 당정역까지다. 7개 지자체는 이미 지난 2012년부터 ‘경부선추진협의회’를 꾸려 활동해왔다. 지난 3월에도 경부선 지하화 촉구 건의문을 국토교통부에 전달한 바 있다.

건의문에는 해당 경부선 구간과 관련, 7개 지자체의 지하화 추진 의지가 매우 크다는 점이 담겼다. 또 지하화에 필요한 사업비는 상부 부지 개발 이익으로 충당해야 하는데, 충분히 가능하다는 주장도 포함했다. 지하화가 각 지역에 가져다줄 경제적, 사회적, 정책적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보이는 만큼 선도사업 대상 구간으로 선정돼야 한다는 공통된 의견이 건의문의 주를 이뤘다.
최대호 안양시장과 하은호 군포시장도 한 목소리로 선도사업 선정을 촉구했다. 2012년 추진협의회를 구성하고 초대 회장으로 활동했던 최 시장은 “안양시의 미래 세대를 위해 꼭 필요하고, 오랜 기간 준비해온 사업”이라며 “각종 용역 결과 등을 바탕으로 국토부 상위 계획에 경부선 지하화가 반영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하 시장은 “미래 지향적인 교통 인프라 구축과 지역 단절 해소, 철도 주변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해 경부선 지하화가 절실히 필요하다. 신속히 실현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군포/강기정·박상일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