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LH

올해 공공주택 5만가구 착공을 완료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내년엔 올해보다 1만 가구가 늘어난 6만가구를 착공하는 등 주택공급 확대 기조를 이어나가기로 했다.

12일 LH에 따르면 LH는 지난해 말 3만8천가구 착공계획을 확정지었으나, 민간 건설경기 위축으로 연초부터 주택시장 수급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자 선제적으로 착공물량을 5만가구로 늘렸다.

물량확보를 위해 3기 신도시 대지조성공사 등 선행공정과 주택착공을 병행해 3기 신도시 착공 물량을 1만가구로 확대했고 부진한 민간경기 활성화를 위해 민관공동사업인 민간참여 주택건설사업 물량도 13개 블록 1만319가구로 늘렸다.

또한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해 CEO를 단장으로 한 ‘공공주택 공급촉진 추진단’을 신설하고, 수시로 현안과 착공 진행 현황을 점검했다.

지난 4월 공사발주 및 계약에 관한 업무가 조달청으로 이관됨에 따라 시공사 선정까지 행정절차가 2개월 이상 증가해 착공 지연 우려가 커지자 조기발주 물량도 확대했다. 조달청과 긴밀히 협의해 소규모 공사는 통합발주하고 지연이 예견되는 일부 착공물량은 조기발주하여 지난 11월 발주절차를 완료했다.

현재 공공주택 5만가구를 건설할 시공사로 69개 컨소시엄이 선정돼 연내 착공일 지정이 완료된 상황이며 올해 착공을 마친 공공주택 건설현장은 고양창릉 S-5블록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분양에 들어가고 2027년 하반기부터는 입주가 시작될 예정이다.

5만가구 건설을 위해 내년부터 3년간 투입되는 총 공사비는 17조원을 넘어섰으며, 공공주택 공급물량 확대 외에도 침체된 건설경기 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LH는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최대한 주택공급 물량을 늘린다는 방침으로, 공공분양주택인 뉴:홈 4.1만 가구, 건설임대주택 1만9천 가구 등 6만가구가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LH의 2025년 건설형 공공주택 착공 계획.
LH의 2025년 건설형 공공주택 착공 계획.

올해 착공 물량 5만가구 중 82%가 연말에 집중된 쏠림을 개선하기 위해 내년 상반기 1만2천 가구, 3분기까지 2만2천 가구를 착공하는 등 연중 착공 물량도 분산한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설계, 발주 등의 착공 선행단계를 1년 이상 미리 진행하고, 수도권 사업지구를 중심으로 단지·주택분야 인허가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이한준 LH 사장은 “앞으로도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정책에 발맞춰 주거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며 “국민들이 실제 체감할 수 있도록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신속하게 주택을 공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