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성 향상 근거 없고 직원 복리후생 대책 없어”

12일 오후 경기도청 앞에서 경기도공공기관총연합 등 공공기관 조합원들이 공공기관 북동부지역 이전을 반대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12.12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12일 오후 경기도청 앞에서 경기도공공기관총연합 등 공공기관 조합원들이 공공기관 북동부지역 이전을 반대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12.12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 경기연구원, 경기도여성가족재단 노동조합 등이 첫 집회를 열고 경기도의 공공기관 이전 계획을 규탄했다.

균형발전을 위해 경기 북부 등으로 공공기관을 이전하겠다는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의 계획에 김동연 경기도지사까지 불을 붙이자 기관 반발이 거세지는 모양새(12월3일자 1면보도)다.

경기북부 공공기관 이전, 경과원 이어 경기연 노조도 반대 ‘반발 확산’

경기북부 공공기관 이전, 경과원 이어 경기연 노조도 반대 ‘반발 확산’

노동조합이 파주시로의 이전 계획에 반발 투쟁을 본격화한 가운데(11월28일자 3면보도), 의정부시로의 이전을 앞둔 경기연구원 노조도 반대 투쟁 대열에 동참하고 나섰다. 북부 이전에 대한 재촉이 시작되자 당장 내년에 짐을 싸야 할 처지에 몰린 공공기관
https://www.kyeongin.com/article/1720825

이들이 12일 오후 12시 20분께 경기도청 앞에서 벌인 집회에는 150여명(경과원 110여명·경기연구원 30여명·경기도여성가족재단 20여명)이 동참했다.

이들은 경기도의 공공기관 이전은 균형발전이나 공익성 향상의 근거가 없고, 직원 복리후생에 관한 대책도 없기 때문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권혁규 경과원 노조위원장은 “예산안 편성 이후 노조 성명서를 통해 반대입장을 밝혔지만 어느 누구도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듣겠다고 하지 않았다”며 “파주 이전은 공익성이 하나도 검증되지 않은 근거 없는 계획이다. 단순히 힘의 논리로 이전을 주도하는게 아니라 서로 타협하고 토론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이양주 경기연구원 노조위원장은 기관을 이전하는데에 쓰이는 돈이 낭비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경기연구원이 내년에 임시 이전하는 데에만 35억원이 든다고 하고 전체 이전하면 700억원 가까이 든다고 하는데, 35억원이면 연구원이 환경·경제 전문가를 뽑아서 경기 북부 발전을 위한 연구를 10년 할 수 있는 돈”이라고 짚었다.

정수연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 경기도여성가족재단지부장 직무대행은 핵심연구인력 유출과 함께 재단의 접근성 저하를 우려했다. 이 지부장은 “여성가족정책 이용자는 주로 여성·아동·청소년 등 교통 취약계층인데 대중교통으로 접근이 어려운 이천으로 가면 서비스가 필요한 도민을 외면하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이 자리에선 경과원 직원이 직접 나서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반대 의사를 표출하기도 했다. 현재 수원에 주사무소를 두고 있는 경과원은 직원 600여명 중 400여명이 수원 광교와 성남 판교에서 근무하고 있어 공공기관 중 가장 반발이 큰 곳이다.

경과원 직원 A씨는 “지난 2017년 기관 통폐합을 겪고 (혼란을) 극복하기까지 7년이나 걸렸다”며 “기관 이전이라는 더 큰 변화를 극복하는 데에는 얼마나 걸릴지 알 수 없다. 경기 북부 발전이라는 대의를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 대책이라도 마련되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에서 근무하는 김모(30대)씨도 “내년에 이천으로 이전한다면 당연히 퇴사까지 고려할 것”이라며 “이미 재단에서 오래 근무했던 직원들도 기관 이전 소식에 유출되고 있는 상태”라고 우려했다.

한편 앞서 경기도공공기관노동조합총연합도 지난 11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는 공공기관 이전 권한이 없다”며 “경기도가 기관 이전을 강제한 증거가 발견된다면 법적 조치도 고려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