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듯 의외로 비범한 그런 인물 글로 그리고파”

 

등단 후 습작 아닌 청탁… 일상에 변화

미국서 태어나 한국서 초·중·고 보내고

극작·카피라이터 등 다양한 경험 쌓아

“그간 접한 것 ‘내 소설 스타일’ 돼주길”

‘2024 경인일보 신춘문예’ 단편소설 부문 당선자인 이준아 작가가 지난 5일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경인일보 본사 4층 자료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 작가는 최근 민음사 문학잡지 ‘릿터’ 51호에 신작 ‘박력 있게 스파이크’를 발표했다. 2024.12.5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2024 경인일보 신춘문예’ 단편소설 부문 당선자인 이준아 작가가 지난 5일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경인일보 본사 4층 자료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 작가는 최근 민음사 문학잡지 ‘릿터’ 51호에 신작 ‘박력 있게 스파이크’를 발표했다. 2024.12.5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031-231-5385’.

편집국에서 이 전화기가 울리는 일은 드물다. 신춘문예 공모 시즌인 11월과 12월, 두 개 달을 제외하고는 말이다. 단, 예외가 있었다. 수화기 너머 들려온 뜻밖의 용건은 ‘이준아씨’를 찾는 것. 발신자는 몇몇 문학 출판사였다.

문학도들 사이에서는 ‘신춘고아’라는 자조적인 조어가 심심치 않게 쓰인다고 한다. 그만큼 등단 이후의 길이 비좁다는 의미일 테다. 하지만 그는 금세 반갑게 돌아왔다. 제목은 ‘박력 있게 스파이크’. 민음사의 인기 격월간 문학잡지 ‘릿터’ 12월호에 실린 단편이다. 지난 10월에는 문장웹진에 ‘청의 자리’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준아(39), 2024 경인일보 신춘문예 단편소설 부문 당선자(作 ‘하찮은 진심’)는 그 좁다는 길에 한 발을 내디뎠다. 지난 5일 오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경인일보 본사에서 만난 그는 “(출판사로부터 전화가 오는 이유를) 정말 모르겠다. 다만 이젠 습작이 아닌 청탁을 받아서 소설을 쓰게 됐다는 게 가장 큰 변화다. 청탁받은 소설들을 열심히 집필하고, 마감을 지키는 한 해를 보냈던 것 같다”며 등단 이후 조금은 달라진 일상을 떠올렸다.

엄밀히 말하자면 이준아는 재외국민이다. 그에게 신춘문예 상금을 전달할 때 계좌 예금주에는 한글이 아닌 영어로 된 이름이 적혀있었다. ‘Lee Grace Junna’. 태어난 건 미국이나 자아를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초·중·고등학교 시기는 한국에서 보냈다. 스무 살이 돼서는 다시 미국으로 가 대학에서 연극영화, 그중에서도 극작을 전공했다.

그는 “연극을 배울 때 어떤 스타일의 변화를 접했다. ‘제4의 벽’을 깬다고 해야 할까. 관객에게 갑자기 말을 시키는 경우도 있고, 처음부터 끝까지 한 명의 독백으로 나아가는 연극도 있었다. 이렇게 접했던 것들이 소설 쓸 때도 나와서 나만의 스타일을 만들어 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 나이로는 마흔, 늦은 나이라고 색안경을 끼고 보면 마냥 늦은 때 그는 소설가가 됐다. 그전까지는 카피라이팅 등 홍보 콘텐츠 시나리오를 쓰는 상업적인 글쓰기를 했다고 한다. 지금도 프리랜서 카피라이터로 일하는 와중에 소설을 쓰고 있다. 두 직업은 천차만별이나 ‘작가’라는 동일한 호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는 “상업적인 글쓰기는 본질보다 부풀려서 꾸미는 일이다. 그러니깐 그럴듯한 언어로 포장해서 사회 공헌을 하는 듯이 보이나, 사실은 이익을 위한 일들. 그런 아이러니함을 소설 쓸 때 한 번쯤은 써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고 설명했다.

영어와 한국어, 극작과 순문학, 그리고 카피라이터와 소설가. 이런 경계선에 서 있던 경험은 어쩌면 그만의 특징을 만들어낸 요인인지도 모른다.

‘2024 경인일보 신춘문예’ 단편소설 부문 당선자인 이준아 작가가 지난 5일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경인일보 본사 4층 자료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 작가는 최근 민음사 문학잡지 ‘릿터’ 51호에 신작 ‘박력 있게 스파이크’를 발표했다. 2024.12.5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2024 경인일보 신춘문예’ 단편소설 부문 당선자인 이준아 작가가 지난 5일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경인일보 본사 4층 자료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 작가는 최근 민음사 문학잡지 ‘릿터’ 51호에 신작 ‘박력 있게 스파이크’를 발표했다. 2024.12.5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그가 쓴 이야기는 겉보기엔 가볍다. 하지만 읽고 나면 마음이 무거워진다. 일상에 너무도 자연스레 스며들어 있는, 세세히 따져보면 부당하지만 보편 다수가 묵인하고 있는, 그런 무미건조한 부조리를 그리고 있는 까닭일까. 신작 ‘박력 있게 스파이크’도 마찬가지였다. 주인공 ‘부영’, ‘산드라’, ‘효원’. 이 세 여성의 관계, 그리고 이들이 속한 보편적인 세계를 둘러싼 관계를 다층적으로 쌓아간다.

이제 그에게는 작가를 넘어 ‘소설가 이준아’라는 호칭이 하나 더 생겼다. 앞으로 쓰고 싶은 이야기가 무엇이냐고 묻자 그는 “소소한 것 같아 보이지만 소소하지 않은 개인”이라고 답했다. 그러고서는 “대단한 인물, 굉장히 잘난 사람을 쓰게 되는 일은 거의 없을 것 같다”고 웃어 보였다. 그 이유는 곱씹을수록 묘했다.

“겉으로 봤을 때 매우 개성 있고 누가 봐도 눈에 띄고 그런 사람들보다는 은은하게 ‘돌아 있다’ 싶은 포인트가 있는, 그런 인물들한테 굉장한 매력을 느껴요. 생각보다 평범하지 않고 비범한…. 때로는 시간이랑 비례하지 않게 곧바로 그런 느낌이 와 닿는 사람도 있고요. 그래서 소설 속 제 캐릭터들도 그런 면모를 가지고 있었으면 좋겠어요.”

그의 단편 차기작이 실릴 예정이라는 자음과모음의 계간지 ‘2025 겨울호’가 기대되는 이유다.

/유혜연기자 p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