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2025년도 국비 예산 주요 사업

 

올해比 3.1% 증가… 역대 최대 규모

기초연금 ‘4조’·생계급여 ‘1.5조’ 등

道, 정부 추경 맞춰 추가확보 결의

경기도가 내년도 국비 예산으로 19조1천412억원을 확보했다.

국회에서 사상 첫 ‘감액 예산안’이 통과(12월11일자 2면 보도)해 SOC사업 등이 줄었음에도 올해보다 3.1% 늘어 역대 최대 규모를 마련하게 됐다.

경기도는 12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2025년도 정부예산 수정안을 분석한 결과, 전년 대비 5천774억원(3.1%) 늘어난 19조1천412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복지 분야의 경우 13조6천215억원으로 지난해보다 5천182억원 증가했다. 기초연금(4조1천314억원), 생계급여(1조5천484억원), 주거급여(6천909억원) 등에 사용된다.

SOC 분야는 3조1천597억원으로 전년보다 1천523억원 줄어들었다.

동탄인덕원선 9공구 현장. /경인일보DB
동탄인덕원선 9공구 현장. /경인일보DB

대표적인 인덕원∼동탄 복선전철(2천120억원), 월곶∼판교 복선전철(1천720억원), 신안산선(2천650억원), 도봉산∼옥정선(795억원), 서부내륙 평택∼부여 민자고속도로(7천351억원), 수도권 제2순환 김포∼파주 고속도로(415억원) 등이다.

환경 분야는 전기자동차 보급(3천341억원)과 소각시설 설치(401억원), 수소전기차 보급(1천265억원), 소각시설 설치(401억원), 국가하천 유지보수(122억원) 등이 있다.

교통 분야는 대중교통비 환급(1천124억원)과 광역버스 준공영제(1천519억원), 특별교통수단 운영(151억원) 등에 국비를 지원받게 됐다.

농정 해양 예산의 경우 농식품 바우처(57억원), 가축방역 대응 지원(118억원), 세월호 추모시설(46억원) 등이 반영됐다.

반면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발행 사업은 국회 감액예산 처리 영향으로 국비가 반영되지 않았다.

도는 정부의 내년도 추가경정예산계획에 맞춰 민생경제 관련 예산을 추가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민간소비와 지역경제의 안정화를 위해 확보된 예산을 내년 1월부터 신속 집행할 계획이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