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소속 광역단체장 상당수가 윤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탄핵 찬성으로 돌아서는 분위기다.
그러나 수도권·중부권을 제외한 일부 지역은 구체적 입장을 제시하지 않고 모호한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지난 6일 “탄핵만은 피해야 한다”는 유정복 여당 소속 시도지사협의회장은 12일 국민적 분노와 국정마비를 이유로 탄핵 불가 기존 입장을 철회했다.
유 시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선포로 인해 야기된 현 시국은 국민적 분노가 폭발하고 있고 국정은 마비되다시피한 혼돈의 상황”이라며 기존 입장을 철회한다면서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에서 국민의 뜻을 존중해 주시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유 시장의 이같은 입장은 지난 4차 담화를 보고난 뒤 기존 입장을 철회하는 내용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밝혔다.
유 시장은 “오늘 윤대통령의 담화 내용으로 볼 때 대통령의 상황 인식 자체가 여전히 잘못되어 있어 지금의 국민적 분노를 잠재울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계속되는 국민불안과 국정 혼란 그리고 대외신인도 추락 등 국가 경쟁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12일 경제 상황을 언급하면서 “지금까지 밝혀진 사실 만으로도, 탄핵소추를 통해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같은 날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직전에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의힘 전 의원은 탄핵 표결에 참여해 육참골단(肉斬骨斷)의 심정으로 탄핵 절차를 밟자”고 주장했다.
이외에 상당 수 단체장들은 사안의 민감성과 여론을 의식한 듯 말을 아끼고 있다.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는 도지사가 판단할 문제가 아니라며 구체적 언급을 자제하고 있고, 홍준표 대구시장은 탄핵 가부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당내 배신자들이 많아 탄핵 가결 가능성을 점쳤다.
앞서 국민의힘 소속 시도지사들은 지난 6일 입장문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은 책임총리가 이끄는 비상 거국 내각을 구성하고 2선으로 물러나야 한다”면서도 “대통령 탄핵만은 피해야 한다”고 밝힌바 있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