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시장, 토론회서 의지 표명

 

후보지 선정 근거·소음대책 등 설명

국유지·인센티브 조례 등 여러 의견

지난 14일 아일랜드캐슬 다이아몬드홀에서 의정부 예비군 훈련장 부지선정 시민 공론장 1차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2024.12.14 의정부/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
지난 14일 아일랜드캐슬 다이아몬드홀에서 의정부 예비군 훈련장 부지선정 시민 공론장 1차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2024.12.14 의정부/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

의정부시 호원동 예비군훈련장 이전 문제를 결정할 시민공론장(10월28일자 8면 보도)이 본격 시작됐다.

의정부 예비군훈련장 이전 시민공론장 본격화

의정부 예비군훈련장 이전 시민공론장 본격화

예비군훈련장의 이전부지 선정과 관련, 시민이 주도·결정하는 '공론장'이 본격 시동을 걸었다.의정부시 예비군훈련장 부지 선정 시민공론장이 최근 시청 인재양성교육장에서 발족식을 갖고, 첫 운영위원회 회의를 열었다.직접 이해당사자인 권역별 주민 대표들과 시민사회 관계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공론장 운영위원회는 앞으로 약 2개월간 8차례에 걸쳐 회의를 갖고 어떤 방식과 내용으로 시민토론회를 진행할지 정할 계획이다.공론장 운영 과정에 문제가 없는지 살피는 검증단의 단장은 최경자 전 시의회 의장이 맡기로 했다.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토론회는 12월 초에 열릴 예정이다. 사전 신청을 받아 지역·성별·연령을 안배해 선발된 시민참여단이 논의와 결정의 주체가 되며, 이들은 과학화 예비군훈련장에 대해 학습하고 토론한 뒤 이전 대상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맡는다.시는 이번 시민공론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시청 누리집에 홍보공간을 개설, 시민들에게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알릴 예정이다.공론장 운영을 총괄하고 있는 한국공론포럼 박태순 상임대표는 "지난해 소각장 공론장을 통해 의정부 시민이 가진 집단지성의 힘을 느낄 수 있었다"며 "의정부시가 예비군훈련장 이전을 주제로 한 이번 공론장에도 성공한다면, 주민을 위한 진짜 민주주의를 구현하는 지자체로 명성을 얻을 수 있을 거라고 확신한다"고 했다.발족에 앞서 운영위원과 검증단장에게 위촉장을 전달한 김동근 시장은 "공론장에 필요한 자료는 모두 투명하게 공개하고 결과를 존중하겠다"며 "어느 곳이든 희생과 양보가 있는 곳엔 최대한의 인센티브를 부여하겠다"고 약속했다.한편 호원동 구도심 한가운데에 위치한 예비군훈련장은 1970년대 44만1천528㎡ 규모로 조성돼 한때 서울과 의정부에 거주하는 예비군 병력이 훈련받던
https://www.kyeongin.com/article/1715012

의정부 예비군훈련장 부지 선정 시민공론장 운영위원회는 지난 14일 아일랜드캐슬 다이아몬드홀에서 1차 시민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시민참여단은 공론장의 의미와 목적, 후보부지 선정 근거, 안정성 확보와 주민피해 저감 방안 등에 대해 숙의 토론했다.

시민참여단은 자발적 신청자 중 무작위 방식으로 뽑은 55명으로 구성됐다. 지역·성별·연령별을 고려해 인원을 배정하되 4개 이전 대상지 동에는 가중치를 뒀다.

토론 내용과 방식은 준비위와 운영위가 사전 회의를 거쳐 정했다. 이날 열린 1차 토론회에선 예비군훈련장 관내 설치 배경, 후보부지 선정 근거, 안정성 확보와 주민 피해 저감 방안 등 의제별 발제와 토론이 진행됐다.

시는 관외가 아닌 관내로 예비군훈련장을 이전하게 된 경위와 4개 후보지를 선정한 근거, 소음과 안전대책을 구비한 과학화 예비군훈련장의 특징을 시민들에게 설명하는데 주력했다.

시는 애초 예비군훈련장의 관외 이전을 추진했으나 관외 대체부지를 확보할 수 없었으며 국방부가 국방개혁에 따라 존치를 원칙으로 하면서 협상이 어려웠다는 점을 밝혔다.

시는 더 나아가 국방부가 ‘올해 안에 대체부지를 정하지 않으면 기존 호원동 부지에 재설치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관내 이전으로 방침을 선회할 수밖에 없었다고도 부연했다.

다만 시는 국방부와 협의를 통해 훈련장 규모를 당초 계획의 절반 수준으로 줄이기로 했으며 공원과 체육시설 등 주민을 위한 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성과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예비군훈련장 후보 부지는 ▲가능동 통신대대 부지 ▲금오동 5군수 지원여단 이전 부지 ▲호원동 기존 예비군훈련장 부지 ▲자일동 호국로 인근 부지 등이 제시됐다.

시는 의정부 전 지역을 대상으로 토지피복지도, 도로, 철도 등을 빼고 절대보호구역을 제외하는 방식으로 8곳을 추렸으며 이 중 면적이 협소하거나 국토부 공공주택지구 등으로 지정된 곳을 다시 제외해 4곳을 대상지로 선정했다.

토론회에선 그밖에 과학화 예비군훈련장에 들어설 시설과 안전대책, 예상 소음도 등도 제시됐다.

조별로 7~8명씩 나눠 앉은 시민 참여자들은 의제별로 개별 토론을 진행한 뒤 결과를 발표하는 순서를 거쳤다.

지난 14일 아일랜드캐슬 다이아몬드홀에서 의정부 예비군 훈련장 부지선정 시민 공론장 1차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2024.12.14 의정부/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
지난 14일 아일랜드캐슬 다이아몬드홀에서 의정부 예비군 훈련장 부지선정 시민 공론장 1차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2024.12.14 의정부/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

시민참여단은 부지선정과 관련해 ‘국유지 비율이 높은 곳을 선정해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주변 지역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등의 의견을 냈다.

주민지원책에 대해선 ‘셔틀버스 운영 등으로 교통체증 완화 방안 시행’, ‘대상지 주변 주민들의 인센티브를 조례 등으로 규정’, ‘민관군협의회를 구성해 개발부터 운영까지 관리’ 등의 의견이 제시됐다.

공론장 운영위원회는 시민들의 의견을 결과보고서에 담을 예정이다.

이날 토론을 시민참여단은 오는 21일 2차로 열리는 토론회에서 결과 도출을 위한 표결 등에 참여할 예정이다.

김동근 의정부시장은 토론회 전 “예비군훈련장을 관외로 이전하고 싶었으나 여의치 않아 이렇게 공론장을 열게 된 것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면서 “공론장의 결과는 수용할 것이며, 이전대상지 선정과 상관없이 여기서 나온 주민들의 의견과 요구사항들을 행정에 우선순위에 두고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의정부/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