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청·인천상의 등 ‘위축된 투자심리 회복’ 노력

 

국내 정세 혼란… 불안감 해소 온힘

대응 핫라인 구축·지원 활동 등 강화

인천시·경기도 등도 대책 마련 나서

인천경제청이 입주해 있는 송도 G 타워 전경. /경인일보DB
인천경제청이 입주해 있는 송도 G 타워 전경. /경인일보DB

인천 주요 경제 기관들이 국내 정세불안 여파에 따른 기업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서한을 발송하는 등 위축된 투자심리 회복에 총력을 쏟고 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이르면 16일 경제자유구역에 입주한 외국인투자기업 200여 곳에 윤원석 청장 명의의 서한을 발송한다. 인천에는 바이오시밀러,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개발, 로봇, 금속가공 등 다양한 분야 외투기업이 자리 잡고 있어 이들 기업의 지역 경제 기여도가 높다.

서한에는 한국의 주요 경제 지표가 안정적이고 과거 비슷한 정치적 위기 상황에서 높은 회복력을 보였다는 내용을 담았다.

인천경제청은 경제 상황 변동 시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외투기업과 공유하고 경영 활동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언제든지 대응할 수 있도록 ‘외투기업 핫라인’도 구축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외투기업에 한국 경제 기초체력이 탄탄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기존대로 기업 운영을 해달라고 요청하고자 서한을 발송하기로 했다”며 “외투기업의 우려를 진정시키고 기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는 의지를 전달하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다.

인천상공회의소도 회원사들에게 지역 경제 안정, 기업 활성화에 필요한 대책을 한층 더 견고히 하겠다는 내용의 서한을 전했다. 박주봉 인천상공회의소 회장은 ‘경제는 멈출 수 없습니다’라는 제목의 서한에서 “고환율, 국가신용도 저하 우려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인천 경제에 미칠 파급력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인천상의가 기업의 버팀목으로서 현재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지원 활동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했다.

인천시를 포함해 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도 잇따라 경제 정책을 점검하면서 위기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인천시는 오는 17일 유정복 시장 주재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인천 경제인 단체, 관계 기관 목소리를 듣기로 했다. 대책회의에서 수출기업이 직면한 문제를 살펴보고 후속 조치를 마련하겠다는 게 인천시 계획이다.

앞서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탄핵 정국 여파로 어려움이 가중되는 소상공인, 기업을 위해 민관합동대책기구인 경기비상민생경제회의를 설치하고 정책 금융, 기업애로 창구 운영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경제 기관·단체 등을 초청한 비상경제회의를 열고 일자리 예산 조기 집행, 특별 자금 신설 등 지원책을 내놓았다.

정부 경제당국은 연일 관계 기관 비상회의와 외투·수출 기업 간담회를 열어 시장 불안을 가라앉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지난 13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기업 대표들과 만난 자리에서 “기업의 투자·경제활동에 걸림돌이 없도록 정책 대응을 지속하겠다”며 “한국 경제의 저력과 회복탄력성을 믿고 예정된 투자와 기업 활동을 평소대로 추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