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직무 정지… 접경지 경계 강화
대피시설 개방·요원 배치 등 가동

최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과 함께 군·경 주요 간부가 구속되거나 직무가 정지되면서 불안한 정국이 이어지자, 인천시가 최전방 접경지역 안보 점검에 나섰다. 인천시 비상대책과 비상대책팀 직원 6명은 16일 옹진군 백령도를 찾아 민방위 시설 가동 상태 등을 확인했다. 17일까지 이틀간 백령도 내 대피시설 4개소, 경보시설 2개소, 급수시설 1개소 등 민방위 시설 총 7개소를 특별 점검하고 미비점을 보완할 계획이다.
이번 일정은 최근 남북 간 군사 긴장이 고조되고 불안정한 국내 정세로 안보 불안이 커지면서, 서해 5도 민방위 시설을 사전 점검해 준비 태세를 강화하려는 목적이다. 최근 북한에서는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이 윤 대통령 탄핵안 가결, 군·경 관련자 수사 상황을 연이어 보도하며 관련 소식을 전하고 있다. 백령도와 같은 접경지역에 군사적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군부대가 핫라인을 통해 인천시와 면사무소에 알리고, 민방위 경보를 발령한다. 이어 대피시설 개방, 대피 유도 요원 배치, 시설 주변 경계 강화가 이뤄진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백령도 안보 현황을 청취하고, 비상발전기나 핫라인을 비롯한 모든 시설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할 방침이다. 또 경보시설 조작 방법을 시연하고, 이번 일정에 동행한 한국전기안전공사 인천지부와 공동으로 민방위 시설 전기 안전 진단도 실시할 예정이다. 이외에 대피시설 내 식량·침낭·의약품과 같은 필수 물품 비치 여부를 점검한다.
인천시는 백령도를 시작으로 서해 5도 나머지 지역에서도 민방위 시설 점검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서해 5도의 경우 정부가 지원하는 주민 대피시설은 백령 29개, 대청 9개, 연평 8개 등 총 46개다. 급수시설은 백령·대청·소청·연평도에 1개씩 설치돼 있다. 인천시 비상대책과 관계자는 “백령도 점검 이후 일정을 고려해 나머지 민방위 시설 실태도 확인하겠다”며 “일정상 진행이 어려운 경우에는 군·구에 위임해 시설을 점검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보고받겠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