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상계엄 사태로 연말연시 특수를 누리지 못하고 있는 인천 지역 소상공인들이 ‘가게 월세도 못낼 판’이라며 선(先)결제 운동을 확산해 당장 필요한 자금을 당겨 쓸 수 있도록 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17일 열린 인천시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도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 공공기관이 주도적으로 선결제 운동에 동참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선결제 운동은 최근 정세 불안으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들의 자금 운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단기 지원책으로 꼽힌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 당시 화제가 됐던 선결제 방식을 지역사회에서도 이어나가자는 취지다.
모래내시장에서 30년째 귀금속 가게를 운영 중인 서장열 인천상인연합회장은 “매출이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진 지역의 한 노래방 점주는 월세를 충당하기 위해 일당 아르바이트를 뛴다고 했는데 남 얘기가 아니다”라며 “인건비와 최소한의 운영비조차 마련되지 않는 상황에서 숨통을 틔워줄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7년째 카페를 운영하는 황규훈 인천소상공인연합회장은 “연말 모임이 줄줄이 취소돼 술집은 손님이 적어서 일찍 문 닫고 외식 전후에 들르는 카페는 아예 사람들의 발길이 끊긴 상황”이라며 “일정 부분 매출을 확보해야 계속 영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단기간 선결제와 같은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박주봉 인천상공회의소 회장도 이날 인천시·경제단체·유관기관 합동으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선결제 문화를 확산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선결제 등 제안 사항을 면밀하게 검토할 예정”이라며 “지역 상품을 우선 구매하는 범시민 운동과 민간 투자 분야 예산을 상반기 조기 집행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설명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