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분야사업 전통연희는 연극에
국악·창극은 음악으로 편입 지적
지역전반에 비판 확산되는 모양새

인천문화재단이 2025년 예술창작 지원사업(공연) 공모에서 기존 ‘전통’ 분야를 쪼개 연극, 음악, 무용 등 다른 분야로 분산·재배치하면서 지역 전통예술계를 중심으로 “전통예술을 홀대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재단은 오해라는 입장이지만, 그동안 정책적으로 소외됐다는 전통예술계의 불만이 누적되다 이번에 표출된 것으로 보인다.
재단이 이달 5일부터 26일까지 진행하고 있는 ‘2025 예술창작 지원사업’ 공모 내용을 보면, 공연 분야의 사업을 연극, 음악, 무용 3개 유형으로 구성했다. 재단은 지난해까지 공연 분야 지원사업에서 전통을 포함한 4개 유형으로 공모했는데, 올해는 전통이 빠졌다. 올해 사업 공모에선 전통 유형 안에 있던 예술 장르인 전통연희는 연극으로, 국악(성악·기악)과 창극(가무극)은 음악으로 재배치했다.
인천 전통예술계는 이 같은 변화를 매우 상징적인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다. 일부 문화예술인이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중심으로 재단의 내년 사업 방식을 지적하자 지역 전통예술계 전반으로 재단의 조치에 대한 비판이 확산하는 모양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상당수 광역문화재단은 전통예술을 별도 분야로 두고 내년 창작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기도 하다.
인천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한 전통예술단체 대표는 “인천문화재단 출범 초창기에는 창작 지원사업에 전통 분야가 없다가 지역사회의 요구로 만들어져 지금까지 이어졌던 것”이라며 “전통예술을 쪼개 다른 장르의 하위 범주로 편입한 것은 민족문화와 전통예술의 고유성과 복합성을 무시하는 조치”라고 말했다.
재단은 기존 전통예술 지원사업에 대한 지원 규모와 방식이 줄어든 것이 아니며, ‘홀대론’은 오해라는 입장이다. 재단 관계자는 “전통과 현대의 퓨전 공연이 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했다”며 “시각예술 분야가 장르 구분 없이 개인전과 단체전으로 폭넓게 공모를 진행하듯 폭넓은 관점에서 공연 분야 지원사업을 공모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이어 “전통예술 지원을 축소한다는 취지는 전혀 아니며, 사업 유형별 전문 심의위원을 기존 5명에서 7명으로 확대해 심의할 예정”이라며 “사업 신청자들이 문의가 있을 경우, 혼동이 없도록 안내하고 있다”고 했다.
그동안 인천문화재단을 넘어 인천시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소외됐다고 주장(12월 16일자 15면 보도)해 온 지역 전통예술계의 누적된 불만이 이번에 수면 위로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인천의 한 전통예술 기획자는 “지난 7월 ‘국악진흥법’이 시행됐음에도 인천시는 전통예술 진흥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 전통예술인들은 알 길이 없다”며 “오히려 전통예술을 위축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