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송도유원지 일대 263만여㎡ 개발’ 가이드라인 제시
2개 생활권 중심지 개별적 개발 구상
블록별 공원·복합문화공간 등 계획
기부채납 등으로 원가 절감 예상도
부영그룹과 협상도 ‘넘어야 할 산’
내년 1~2월내 지침 정리 사업 추진

인천시가 옛 송도유원지 일대 263만여㎡의 개발 방향을 담은 가이드라인(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옛 송도유원지 일대를 8개 구역(블록)으로 나눠 각 지역별 특색을 반영해 개별적으로 개발을 추진한다는 구상인데, 인천시의 마스터플랜이 실현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표 참조

■ 권역별 개발 가이드라인 설정… 내년 중 구체적 사업 지침 수립
인천시는 ‘송도유원지 르네상스’ 마스터플랜을 통해 글로벌 복합문화 허브와 2개의 생활권 중심지를 8개 권역별 특화단지로 조성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1블록인 OCI 유수지는 현재 체육공원이 조성되고 있는 상태다. 인천시는 이를 연계해 2027년까지 OCI 유수지 일대를 스포츠 콤플렉스로 조성한다는 그림을 그렸다.
2블록인 송도석산 주변지역의 경우 인천도시공사(iH)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부지를 소유하고 있다. 인천시는 2블록을 공공개발로 추진해 도시개발과 함께 공원을 조성하기로 했다.
3블록은 민간 주도로 주거업무 복합공간과 주거단지가, 옛 송도유원지가 있었던 4블록은 문화복합 호수공원과 함께 중저밀 주거단지가 조성될 예정이다.
5블록과 6블록은 당초 (주)부영그룹이 테마파크와 도시개발사업을 진행했던 부지다. 인천시는 부영그룹과의 협상을 통해 5블록을 기부채납 받아 글로벌복합문화 허브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 일대가 경제자유구역으로 신규 지정되지 못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높은 조성원가’였다. 그러나 기부채납을 받는다면 조성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 인천시는 저렴한 조성원가가 기업유치를 위한 메리트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6블록은 부영그룹을 중심으로 복합주거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건산업이 소유한 7블록은 저밀 친환경 주거단지로 계획됐고, 8블록은 옛 송도유원지 일대와 워터프론트를 연계한 친수공간으로 거듭날 전망이다.
다만 인천시가 이날 발표한 마스터플랜은 말 그대로 가이드라인일 뿐 구체적인 사업 계획이라고 할 수 없다.
인천시 관계자는 “대부분 민간 사업이라 공공시설 설치 기준·생활 SOC 설치 방안 등 (민간이 참고할) 구체적인 사업 지침을 만들 예정”이라며 “내년 1~2월까지는 지침을 정리해 사업들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 부영그룹과 협상 성사될까… 市 “이번이 최후통첩”
옛 송도유원지 일대 전체 부지 중 약 103만㎡는 부영그룹이 소유하고 있다. 부영그룹은 옛 대우자판 부지(53만8천600㎡)에 도시개발사업과 함께 인근 49만여㎡ 땅에 테마파크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으로 2015년 땅을 매입했다.
인천시는 테마파크 준공 3개월 전부터 도시개발사업 부지의 아파트 분양·착공이 가능하도록 조건을 걸어놨는데, 테마파크 부지의 토양오염이 심한 데다 사업성 확보가 어렵다는 이유로 부영그룹은 10년동안 개발에 나서지 않고 있다.
인천시는 해당 부지에 대한 개발을 시행하고 공공성을 확보하겠다는 명목으로 지난 5월 부영그룹에 ‘사전협상제도’를 제안했다. 사전협상제를 통해 ‘테마파크 준공 3개월 전’이라는 조건을 없애 곧바로 도시개발사업이 가능하게 해주는 대신, 옛 대우자판 부지를 인천시에 기부채납하라는 제안을 건넨 것이다.
인천시는 부영그룹이 당초 도시개발사업에 계획했던 3천900가구 규모를 7천가구 규모까지 늘리는 방안도 제시했다.
그러나 부영그룹은 도시개발사업 부지 전체의 용도를 ‘주거지역’으로 변경해 공원·녹지·도로 등 없이 1만가구 규모의 공동주택 획지로 개발하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인천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이달 초 결국 협상은 이뤄지지 않았다.
인천시는 부영그룹 소유 부지(5·6블록)를 제외한 나머지 부지를 대상으로 사업을 우선적으로 실시하겠다는 방침이다.
인천시의 송도유원지 르네상스 마스터플랜이 온전히 실현되기 위해선 5·6블록에 대한 개발 구상이 확정돼야 한다.
이철 인천시 도시계획국장은 “부영그룹의 제안은 법률적으로도 불가능한 데다, 1만 가구 규모로 조성하면 고밀도 아파트촌이 돼 주민수용성도 확보되지 않을 것”이라며 “부영그룹은 인천시 제안을 안 받을 이유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제안은) 인천시는 부영그룹에 최후통첩을 해 놓은 셈”이라며 “부영그룹이 끝까지 안 받으면 법률적으로 (부영그룹이 받아놓은) 실시계획을 취소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