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재건 대책 논의… ‘슈퍼 추경’ 편성 필요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의 세차례 회담 상기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문재인 전 대통령을 만나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안 가결 후폭풍으로 흔들리고 있는 경제 재건 대책을 논의했다.
김 지사는 20일 경상남도 양산시 평산마을에서 문 전 대통령과 만나 “(박근혜 대통령 탄핵 당시) 문 대통령 취임 후 바로 추경을 편성했었다”고 떠올리며 “지금은 최소 30조원 이상의 ‘슈퍼 추경’ 편성이 필요하다. 미래먹거리, 소상공인 지원, 민생회복지원 등에 힘쓸 때”라고 강조했다.
그러자 문 전 대통령도 김 지사의 말에 공감하며 “여건이 어렵더라도 경제는 운용하는 사람의 역량, 철학이 정책으로 작용한다. 지금 정부는 ‘부자감세’에다 재정건전성에 너무 얽매여 재정운용을 너무 방어적, 축소적으로 해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문 전 대통령은 김 지사에게 “워낙 경제 전문가시니 (지금의 위기상황에서) 메시지를 계속 내달라”고 당부했다.
김 지사는 문재인 정부 초대 경제부총리로서, 2016년 2%대였던 한국 경제성장률을 2017년 3.2%로 끌어올리는 데에 기여했다.
이날 두 사람은 트럼프 2기 출범을 앞두고 한국이 외교적으로 패싱 당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걱정하며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세 차례 대면 회담을 했던 경험도 떠올렸다.
김 지사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외국지도자 등 2천500여명에게 긴급서한을 보낸 것을 설명하며 “(긴급서한 답장으로) 클라우스 슈밥 WEF 회장이 내년 다보스포럼 초청장을 보내왔다. 국제사회가 한국 상황을 궁금해하는데, 중앙정부선 어려울 듯 하니 김동연 지사가 한국 대표로 왔으면 좋겠다고 해서 참여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한편 김 지사는 지난 19일에도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 및 국회에 대규모 추경 편성을 촉구했다. 김 지사는 추경 편성과 함께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0.5%p 인하하는 ‘빅컷’ 등 금융 정책도 제안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