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서 3분 자동출동 불구 사망

방연마스크 지급 등 보완 필요성

기초수급 미등록 등 사각도 여전

1인 가구 등 화재 취약 계층이 사망하는 사고가 잇따르지만, 이들을 위한 화재 안전보장시설과 정책이 부족해 여전히 안전사각지대에 내몰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인일보DB
1인 가구 등 화재 취약 계층이 사망하는 사고가 잇따르지만, 이들을 위한 화재 안전보장시설과 정책이 부족해 여전히 안전사각지대에 내몰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인일보DB

화재로 독거노인이나 1인 가구 등 화재 취약 계층이 사망하는 사고가 잇따르지만, 이들을 위한 화재 안전보장시설과 정책이 부족해 여전히 안전사각지대에 내몰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경찰과 소방에 따르면 이날 오전 1시께 부천시 원미구 단층 주택에서 불이 나 거실에 있던 80대 여성 A씨가 숨졌다. A씨는 화재 당시 집에 혼자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지난 16일 0시1분께 양평군 용문면의 한 빌라에서도 불이 나 60대 여성 B씨가 숨졌다. 소방은 B씨의 집에 설치된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자동신고를 통해 접수 3분만에 현장에 도착했지만, B씨의 죽음을 막지 못했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만 65세 이상 독거노인이나 2인 가구, 장애인 가구 등 화재 발생 시 안전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을 위한 지원체계다. 대상자의 자택에 활동 감지기나 화재·가스 감지기 등 다양한 장비가 설치돼 있어 화재나 응급상황 시 자동으로 119로 신고가 접수된다.

B씨의 자택에 설치된 장비는 연기를 감지해 정상적으로 119에 신고가 접수됐고 소방도 재빠르게 화재 현장에 도착해 화재 진압 및 구조 작전에 나섰으나, 빠르게 번진 불 앞에선 소용이 없었다. 이 때문에 방연마스크와 같은 대피 장비를 지급하는 등 서비스 보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서비스 지원 대상의 확대 필요성도 제기된다. 지난 8일 동두천시 한 단독주택에서 불이 나 50대 남성 C씨가 사망했다. 혼자 살던 C씨는 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자이자 평소 거동이 불편했지만, 장애인으로 등록되지 않아 응급안전안심서비스를 지원받지 못했다. 결국 화재 상황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하고 변을 당했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대상자 선정과 모니터링 등은 모두 기초지자체가 담당한다. 경기도에 설치된 3만3천여 대의 서비스 장비 중 3만2천여 대가 독거노인 가구에 집중돼 있다. 이에 C씨처럼 서비스 대상은 아니지만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1인 취약가구의 발굴과 지원에도 지자체 차원의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1인 가구 등 화재 취약계층 범주에 포함되는 이들까지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화재에 빠르게 대비하기 위해 안전 취약계층에 가정용 소화기나 방연마스크 등을 지원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