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억 출자금… 조성 4년만에 성과
총45곳 445억 투자 받아 매출 증가
지자체 주도 첫 사례 벤치마킹 다수

국내 최초 지방자치단체 주도형 창업지원 모(母)펀드 ‘인천빅웨이브모펀드’가 조성 4년 만에 1조원을 돌파하는 성과를 냈다.
인천시는 22일 인천빅웨이브모펀드의 조성 규모가 1조5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1년 인천시가 6천억원 규모의 펀드 조성을 목표로 시작한 인천빅웨이브모펀드는 사업 시작 3년째였던 지난해 목표 금액을 조기에 달성했고, 올해 목표 금액(8천억원)도 여유 있게 넘어섰다.
인천빅웨이브모펀드는 지역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투자 금액을 펀드로 조성하는 사업이다. 종잣돈에 해당하는 출자액으로 펀드를 조성한 뒤, 운영사가 민간 투자사를 모집해 창업기업에 투자할 비용을 확보한다. 투자를 받은 창업기업이 성과를 올리면 민간 투자사들도 투자 규모에 맞게 수익을 돌려받게 된다.
인천시는 지역협회와 단체, 중견·중소기업 등과 함께 600억원을 출자해 모펀드를 만들었다. 투자 운영사인 인천창조경제센터는 이 모펀드로부터 출자받은 돈을 청년 창업,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공유서비스 등 총 36개 산업 분야의 자(子)펀드로 구성한 뒤 분야별로 투자자를 모집해 1조원을 달성하는 성과를 올렸다.
이렇게 조성된 펀드는 인천지역 창업기업의 투자유치로 이어졌다. 올해까지 45개 창업기업이 445억2천만원의 투자를 받았으며 올 한 해 매출 증가액 68억4천400만원, 신규 고용 인원은 63명을 기록했다. 또 인천시가 펀드에 출자한 금액의 3배 이상을 인천 소재 기업에 의무 투자해야 하는데, 총 426억원의 출자액의 3배에 해당하는 1천213억5천만원이 인천에 본사·공장·연구소를 둔 창업기업 지원금으로 활용됐다.
지자체가 주도해 모펀드를 만든 첫 사례인 인천빅웨이브모펀드의 성과를 눈여겨본 지자체들도 펀드 조성에 나서고 있다. 부산시는 올해 1천억원 규모의 ‘부산 미래성장 벤처펀드’를 조성했고, 전남도도 2026년까지 5천억원 규모의 ‘전남미래혁신산업펀드’ 조성을 준비중이다.
인천시는 인천빅웨이브모펀드의 명칭을 내년부터 ‘글로벌톱텐모펀드’로 바꾸고 해외 자본의 투자 유치도 이끌어낼 계획이다. 지난 4월 외국인투자기업인 프리먼(Freeman Inc)과 글로벌톱텐모펀드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외투기업의 출자 규모를 확대한다.
유제범 인천시 미래산업국장은 “민간 투자사들이 인천 기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독려해 인천에서도 유니콘 기업이 탄생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