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 당정동 공업지역 전경. /군포시 제공
군포 당정동 공업지역 전경. /군포시 제공

군포 산본·안양 평촌 재정비 시 이주 주택을 군포 당정동 공업지역에 공급(12월20일자 1면 보도)키로 한 가운데 지역 안팎에선 당정동 공업지역 개선사업의 향방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1기 신도시 교통대책… “도로·철도 제때 준공”

1기 신도시 교통대책… “도로·철도 제때 준공”

련키로 했다. 19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기 신도시는 서울의 위성도시로 계획돼 교통망이 서울 방면으로 집중돼 있으며, 대중교통 수단 분담률이 분당 41.2%, 일산 35.9% 등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ttps://www.kyeongin.com/article/1723441

24일 국토교통부와 군포시 등에 따르면 지난 19일 정부는 산본·평촌 재정비 이주 주택 공급 대상지로 당정동 공업지역 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업구역을 발표했다. 당정동 공업지역은 과거 유한양행 등 대규모 기업들의 공장이 다수 소재했던 지역이다. 이후 2019년 정부는 노후 공업지역 정비를 위해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시범 사업지를 공모했고 당정동 공업지역이 선정됐다. 넓게는 16만449㎡ 규모로 LH와 군포도시공사가 구역을 나눠 사업을 진행한다. 첨단 제조 기술과 디자인 융합 R&D 기업을 유치하고 근로자들을 위한 주택과 산·학 연계 시설, 비즈니스 호텔 등을 건립하겠다는 방침이다.

당초 구상안에 근로자들을 위한 주택 건립 내용이 포함돼있는 만큼 해당 계획을 활용해 이주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게 정부의 방안이다. 이주 문제와 관련, 군포시 조사에서 산본 주민들은 가급적 지역 내 이주를 희망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서울시 남부기술교육원 부지 등 관내 다른 부지들의 활용 문제를 검토했지만 시기나 여건 등이 맞지 않은 것으로 파악돼 결국 당정동 공업지역을 활용하기로 결론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 진행되던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의 큰 그림이 흔들리진 않을 것이라는 게 LH와 군포시의 공통된 관측이다. 이번에 이주 주택 공급지로 결정된 LH 구역의 경우 예비타당성 조사를 마친 후 현재 실시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다.

LH는 “현재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여서 이를 일부 수정, 보완할 가능성은 있다. 예비타당성 조사나 설계 작업을 다시 해야 하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군포시도 “원래 계획에도 주택 공급 내용이 포함돼있었다. 이번 이주 대책 때문에 사업 방향 자체가 달라지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관건은 법령 개정과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의 순항이다. 사업의 토대가 되는 ‘도시 공업지역의 관리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 시행령엔 사업구역 총 연면적의 30%만 주거 시설을 조성할 수 있도록 돼있다. 이 규정대로라면 당정동 공업지역 내 조성할 수 있는 가구 수는 1천300가구 정도에 불과하다. 정부는 법령을 개정해 주거 시설 조성 가능 비율을 5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부지 일부를 민간에 매각해 분양 주택 공급을 촉진하고 LH는 남은 부지에 일자리 연계형 주택을 조성한다는 방침이지만 건설 경기 한파 속 부지 매각이 원활하게 될 지 등은 미지수다.

군포/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