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양주 양돈농가서 ASF 발생

지난 16일 양주 축산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 가운데, 방역대 및 역학관련 축산농가 정밀검사 결과 모두 음성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제공
지난 16일 양주 축산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 가운데, 방역대 및 역학관련 축산농가 정밀검사 결과 모두 음성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제공

양주 축산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 가운데, 방역대 및 역학관련 축산농가 정밀검사 결과 모두 음성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지난 16일 양주 양돈농가에서 올해 세 번째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해 공동방제단 등 가용 소독 차량 160대를 동원해 취약 농장 및 주변 도로를 집중 소독했다고 26일 밝혔다.

또, 인접 방역대 농가와 역학 농가 등에 대해 임상예찰 및 일제 정밀검사를 했다.

도는 가축방역관 17개반 32명을 동원해 발생농장에 대한 10km내 방역대 45호(양주 40호·동두천시 5호) 7만1천88두(2회), 농장역학 9호(파주 4호·포천시 5호)(1회)에 대한 임상검사와 정밀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판정됐다.

도축장 역학농가 146호에 대한 임상예찰 결과도 음성으로 나와 전파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도는 발생지역 이동제한 해제 시까지 발생지역 및 역학농가 등에 대한 경기북부 양돈농가 예찰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아프리카돼지열병은 2019년부터 지난 18일까지 사육 돼지에서 도내 20건 발생했고 야생 멧돼지에서 도내 676건이 발생했다.

정봉수 경기도북부동물위생시험소장은 “겨울철은 야생멧돼지의 먹이활동이 어려워 농가주변 출몰이 우려되는 시기인 만큼 양돈농가에서는 8대 방역시설 관리 및 농장 내와 밖을 구분해 신발 갈아신기, 소독 등 기본 방역 수칙을 준수하고, 입산을 금지하며 농장에서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방역 당국에 즉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