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저녁 경기비상행동 등 시민사회단체와 시민들이 수원역 앞에서 윤석열 체포, 구속 등을 촉구하고 있다. /민주노총 경기도본부 제공
26일 저녁 경기비상행동 등 시민사회단체와 시민들이 수원역 앞에서 윤석열 체포, 구속 등을 촉구하고 있다. /민주노총 경기도본부 제공

12·3 계엄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구속 수사와 함께 탄핵절차의 조속한 처리를 촉구하는 시민사회의 목소리가 26일 저녁 경기지역 곳곳에서 또 한번 쏟아졌다.

이날 윤 대통령을 규탄하는 시민들의 목소리는 수원(수원역 문화광장)·평택(평택역 오거리)·용인(명지대 사거리)·성남(서현 로데오거리)·여주(한글시장 및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실 앞) 등에서 울려 퍼졌다.

무엇보다 이날은 이주노동자·장애인·노인 등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이들과 당사자들의 얼굴이 유독 눈에 띄었다.

26일 저녁 수원역 앞 광장에 자발적으로 모여든 시민들이 ‘윤석열 즉각체포’, ‘탄핵 즉각 인용’ 등이 새겨진 손팻말을 들고 있다. /민주노총 경기도본부 제공
26일 저녁 수원역 앞 광장에 자발적으로 모여든 시민들이 ‘윤석열 즉각체포’, ‘탄핵 즉각 인용’ 등이 새겨진 손팻말을 들고 있다. /민주노총 경기도본부 제공

이날 용인시민대회에서 발언대에 오른 고기복(모두를 위한 이주인권문화센터) 대표는 “윤석열 정권이 이주노동자들을 착취 대상으로만 여기고 대책없이 마구 국내로 들여보냈다”며 “그러면서 지원예산은 삭감한 최악의 정권이라고 생각한다. 하루빨리 양심이 있으면 내려와야 한다”고 말했다.

용인의 한 아파트에서 경비원으로 일하는 강대하(78)씨는 “이렇게 나이든 사람을 대다수 시민들이 보수성향이라고 생각하는데 모두가 그렇지는 않고, 나 역시도 윤석열의 체포와 구속을 원한다”며 “경비원 일자리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최저임금이 제자리에 멈춰 있는 동안 이 정부는 남 탓만 하고 뭐했나”라고 질책했다.

평택지역 장애인단체 관계자도 마이크를 쥐었다. 안준호(에바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는 평택역 오거리에서 “윤석열 정권은 장애인 예산을 2년 반 동안 삭감시켰고, 장애인들을 ‘파리 취급’해왔다”라며 “(장애인 정책 문제가) 특정 정권의 문제라고도 생각하는 건 아니지만, 윤 정권이 물러나는 게 변화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경기지역에서 시민들의 자발적인 촛불행동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광주시민행동과 윤석열퇴진이천시민행동은 오는 27일 저녁 시간 각각 광주역과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 사무실 앞에서, 윤석열퇴진 사회대개혁 고양비상행동은 오는 30일 화정역 앞에서 정권 규탄 목소리를 결집할 예정이다.

/조수현기자 joeloa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