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화 한계… 인천시 검토 들어가
균형발전 논리 발목 추가지정 난망
지난해 반도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에서 고배를 마신 인천시가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에 시선을 돌리고 있다. 인천에서 부족한 반도체 연구개발(R&D) 분야를 강소연구개발특구로 보완하겠다는 구상인데 ‘수도권 규제’ ‘입지 제한’의 문턱을 넘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인천시는 최근 인천연구원 현안 과제를 통해 ‘반도체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가능성을 검토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현재 인천에는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와 스태츠칩팩코리아 등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분야 세계 2·3위 기업을 비롯해 한미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 기업 1천300여개를 중심으로 기업 생태계가 조성돼 있다. 인천 전략 산업으로서 크게 성장하고 있지만, 반도체 관련 기술개발 거점이 부족해 국산화 등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당초 인천시는 이를 보완하는 방안으로 산업통상자원부의 ‘반도체 특화단지’를 노렸지만 실패했고, 그 대안으로 강소연구개발특구를 염두에 두고 있다.
강소연구개발특구는 과학기술 기반 창업·사업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한다. 과기부는 2022년 인천 서구 오류동·경서동, 미추홀구 도화동, 연수구 송도동 일원 2.2㎢를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했다. R&D 거점 인천대학교를 중심으로 ‘ICT 융복합 환경 오염 처리·관리 역량 강화’를 목표로 사업이 추진 중이다.
강소연구개발특구는 핵심기술 기관과 개발 공간 관련 요건이 충족돼야 지정될 수 있다. 인천연구원은 반도체 강소연구개발특구 추진을 위해선 인하대학교를 핵심기술기관으로 두는 게 적합하다는 의견을 냈다. 인하대는 첨단반도체패키징센터, 반도체시스템공학과, 반도체산업융합학과 등을 갖추고 있다. 인하대는 또 인천 반도체 분야 산·학·연·관 네트워크인 ‘반도체 포럼’에도 참여하는 등 강소연구개발특구를 위한 정량 조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인천연구원 분석이다.
다만 인천은 ‘수도권’에 입지해 있어 ‘균형 발전’ 논리를 펼치는 정부의 방침으로 인해 강소연구개발특구 추가 지정이 어려울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또 강소연구개발특구는 기존 특구로부터 10㎢ 이상 떨어진 거리에만 신규 지정될 수 있다는 규정이 있다. 현재 환경분야 강소연구개발특구가 인천대 송도캠퍼스를 포함하고 있어 인하대 송도캠퍼스 부지를 반도체 분야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신규 지정하는 데 제약이 있는 상태다.
인천시 관계자는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연구 거점을 두고 연구관련 기업들을 유치해 클러스터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며 “다만 수도권에는 한 광역에 1개만 특구를 지정한다는 과기부의 방침이 있어 당위성을 설득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기존 특구와의 거리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예외조항이나 예외를 받을 여지가 있는지 확인해 봐야 한다”며 “과기부를 설득하면서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위해 노력해보겠다”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