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인대학 운영, 연대상권 육성 등 지원

지원 정책 통해 상권 경쟁력 강화 방침

지난해 9월 1일 공식 출범한 수원도시재단 상권활성화센터(이하 상권센터)는 수원시 골목형상점가, 골목상권, 전통시장 등 10만 소상공인 지원과 지역 상권의 육성·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연무 골목형상점가에서 열린 수원상인대학 졸업식.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연무 골목형상점가에서 열린 수원상인대학 졸업식.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호매실역중심상가에서 열린 수원상인대학 졸업식.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호매실역중심상가에서 열린 수원상인대학 졸업식.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 수원상인대학을 통한 골목상권 상인 역량 강화

지난해 9월 25일 상권센터는 연무 골목형상점가, 호매실역중심상가 두곳에서 ‘2024년 수원상인대학 입학식’을 개최했다.

수원상인대학은 골목상권 상인들의 역량 및 자생력 강화를 목표로 하며, 총 10회의 교육 과정을 통해 상인들이 골목상권 활력 제고할 방안을 고민하고 지역상권 리더가 될 수 있도록 첫걸음을 내딛는 기회를 제공했다.

상권센터는 상인대학 운영 첫해인 지난해 30명에 달하는 졸업자를 배출했다.

지난해 열린 ‘로컬브랜드 만남의 장-수원다움’ 행사.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지난해 열린 ‘로컬브랜드 만남의 장-수원다움’ 행사.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시민들이 수원세빛세일페스타에 참여하는 모습.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시민들이 수원세빛세일페스타에 참여하는 모습.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 날아라 지역상권! 소상공인 자생력 강화

상권센터가 지난해 온오프라인 교육과 1:1 맞춤 컨설팅을 실시한 결과, 33명이 교육을 받고 16개 업체가 47회의 컨설팅을 지원받았다.

또한, ‘수원새빛세일페스타’를 통해 27개 업체가 참여하며 시민들에게 직접 제품을 홍보하고 브랜드를 알릴 기회를 갖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지역 고유의 로컬브랜드를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해 개최한 ‘로컬브랜드 만남의 장-수원다움’ 행사는 수원 로컬브랜드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지역 경제와 특성과 문화를 연결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지난해 수원도시재단이 개최한 상권 공동마케팅 지원사업 회계실무교육.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지난해 수원도시재단이 개최한 상권 공동마케팅 지원사업 회계실무교육.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 지역 상권 종합체계 구축

지난해 상권센터는 수원시 내 44개 동의 매출 및 유동 인구 데이터(2023~2024년)를 분석하는 상권분석 용역을 통해, 데이터 기반 상권 활성화 정책의 정량적 기틀을 마련했다.

이를 기반으로 상권센터는 수원시 상권 공동마케팅 지원사업을 공모해 5개 상인회(행궁동상인회, 팔달산상인회, 호매실역중심상가연합회, 권선2동맛고을상가번영회, 연무상인회)를 선정했다.

상권센터는 상인회가 스스로 상권 활성화를 위해 직접 기획하고 추진하는 사업을 지원하면서 특화 축제 운영, BI 개발, 온라인 마케팅 등을 추진해 시민 약 3만9천700명을 지역 상권으로 이끌었다.

지난해 열린 ‘2024 수원 상권활성화 포럼’ 현장.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지난해 열린 ‘2024 수원 상권활성화 포럼’ 현장.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수원도시재단이 지속가능한 수원 상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상권활성화 민관 거버넌스 위원회’를 위촉했다.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수원도시재단이 지속가능한 수원 상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상권활성화 민관 거버넌스 위원회’를 위촉했다.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 힘내라 수원경제! 상권 생태계와 거버넌스 구축

상권센터는 상권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수원시장허브’ 웹페이지(swsijanghub.kr)를 개설해 상권 활성화 지원사업, 상권분석, 상권안내 등 다양한 지역상권 정보 및 데이터를 제공하면서 상인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상권 활성화 민관 전문가 15명으로 구성된 ‘상권 활성화 민관 거버넌스 위원회’를 위촉해 지속가능한 수원의 상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자문과 사업 방향 제시를 통해 상권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상권센터는 ‘2024 수원 상권 활성화 포럼’을 개최했으며, 포럼을 통해 9월에 출범한 상권활성화센터의 활동을 홍보하고 소상공인 지원 정책의 방향성과 성공 사례를 공유하며 지역 상권 발전의 방안을 모색했다.

수원도시재단이 소상공인들의 어려운 경제상황 극복을 위해 경영환경개선을 지원한 사례.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수원도시재단이 소상공인들의 어려운 경제상황 극복을 위해 경영환경개선을 지원한 사례.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 소상공인 경영안정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환경개선 지원

경영환경 개선은 소상공인 경영안정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 과제다.

상권센터는 소상공인들이 어려운 경제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창업한지 6개월 이상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66개 업체를 선정해 ▲간판교체 ▲점포 내부 인테리어 ▲홍보물 제작 ▲시스템 개선 등을 지원했다.

지난해 열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에 시민들이 참여하고 있는 모습.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지난해 열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에 시민들이 참여하고 있는 모습.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수원가구거리 어린이 블록 조립대회는 지속가능한 상권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수원가구거리 어린이 블록 조립대회는 지속가능한 상권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 특화사업 발굴로 지역 상권에 활력 제공

지난해 열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에서는 팔달문시장, 지동시장, 영동시장, 미나리광시장 등 수원 전통시장의 주요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페이백 이벤트와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시민 2천여명의 방문이 이어졌다.

또한, 상권센터는 ‘경기도 연대상권 육성지원사업’을 통해 ‘가굿길권선시장’ 브랜드를 개발하고 전체 점포 홍보를 위해 온라인 쇼룸을 구축했다.

‘2024 권선종합시장 옥상족발맥주축제’에 시민들이 참여하고 있는 모습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2024 권선종합시장 옥상족발맥주축제’에 시민들이 참여하고 있는 모습 2025.1.7 /수원도시재단 제공

이와 함께 가굿길권선시장 주변 권선자이e-편한세상·수원시청역 SK뷰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와 상생 업무협약을 체결해 상권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약 2천800세대와 함께 연대상권 쿠폰 이벤트 등의 추진으로 주민들의 소비참여를 촉진·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이밖에 ‘수원가구거리 어린이 블록 조립대회’와 ‘권선종합시장 옥상족발맥주축제’는 지속 가능한 상권 축제로 자리매김하며 지역 상권에 활력을 더했다.

■ 2025년 ‘지역상권 보호도시 수원’ 실현, 수원 상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약

상권센터는 지역경제를 살리는 중심축으로 성장하며 소상공인과 시민이 함께 상생하는 상권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올해에는 ‘천천먹거리촌 상생프로젝트’, ‘글로컬 상권창출팀’ 사업 등 정부와 경기도 사업을 통해 상권 활성화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지역상권 보호도시 수원’을 실현하기 위해 10만 소상공인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 정책을 펼치며, 수원 상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이영선기자 zero@kyeongin.com